검색결과 (‘’에 대하여 전체 4293건의 검색결과가 검색되었습니다.)
737호 / 학보사 | 대학 / 젊음 열정 청춘이 가득했던 대동제 ‘Deer for U_Youth’
젊음 열정 청춘이 가득했던 대동제 ‘Deer for U_Youth’ ▲ 대동제 ‘Deer for U_Youth’ 포스터 (사진 : 청명 총학생회 인스타그램) 천안캠퍼스의 2024년 대동제가 지난 9월 10일, 11일 이틀간 개최되었다. 이번 대동제는 ‘어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라서 즐거웠던 순간, 언젠가 오롯이 빛날 청춘의 한 장면’을 만들고자 젊음, 열정, 청춘’을 주제로 ..
738호 / 학보사 | 대학 / 교내 휴게 시설을 알아보자
교내 휴게 시설을 알아보자 개강을 맞이하며 학우들이 학교로 모였다. 다시 시작된 학교생활에 아직 적응하지 못해 고단함을 느끼는 학우들이 많을 것이다. 공강 시간이나, 수업이 빨리 끝났을 때,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 학우들에겐 쉴만한 공간들이 필요하다. 교내에서 휴식할 수 있는 공간들과 휴게 시설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본다. 서울캠퍼스 휴게 시..
738호 / 학보사 | 대학 / 장애인 편의 시설 실태 점검
장애인 편의 시설 실태 점검 최근 장애인들의 사회적 권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들 스스로 사회의 한 일원이라는 권리를 행사하는 동시에 존중받아 마땅한 그들의 학습, 이동권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공평하게 배움의 터여야할 학교, 우리 대학의 장애인 접근성을 살펴본다. 상명대학교 장애 학생 비율 ▲ 상명대학교 장애 학생 통계 (..
738호 / 학보사 | 대학 / 플랫폼을 활용한 자기계발의 기회
플랫폼을 활용한 자기계발의 기회 여전히 우리사회에서는 자기계발에 관한 키워드가 뜨겁다. 청년사회에서 자기계발에 대한 욕구와 사회적인 압박은 세상의 변화가 빨라질수록 더욱 거세지고 있는데 그것은 동시에 청년층의 배움과 성장에 대한 관심과 직결되기도 한다. 청년층의 니즈에 부응할만한 자기계발에 도움이 되는 플랫폼을 소개한다. 개인 및 팀의 생산..
739호 / 학보사 | 대학 / 공대인의 밤 ‘피지컬:9’
공대인의 밤 ‘피지컬:9’ 지난 2일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에서 공과대학 학생회 PLUS는 공대 학생들 간의 유대감과 협동심 강화를 위해 공대인의 밤 ‘피지컬:9’ 체육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축구, 피구, 계주, 그리고 E-스포츠 경기까지 총 네 가지 종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경기마다 피지컬:9의 색다른 규칙과 긴장감 넘치는 장면들이 이어지며 학우..
739호 / 학보사 | 대학 / 학생 식당 점검, 메뉴 개선, 운영 시간 연장 필요
“비싸고 맛없어”…불만 쌓이는 학생식당 학생 식당은 재학생들의 학교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이 만족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하지만, 현재 학생 식당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된다. 학생 식당은 학우들 사이에서 자주 언급되는 문제이자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학보사에서..
739호 / 학보사 | 대학 / 슬기로운 학생 예비군 길잡이
슬기로운 학생 예비군 길잡이 군 복무를 마친 모든 전역자는 예비군에 편입된다. 이는 전시 상황을 대비한 병력 확보를 위함으로, 예비군은 정기적인 훈련을 통해 전투 능력을 유지한다. 예비군은 전역한 다음 해부터 소속되며, 총 8년 동안 유사시를 대비하여 훈련을 받는다. 1~4년 차까지는 2박 3일의 동원 훈련 혹은 1일 8시간씩 4일간 출퇴근 식으로 훈련을 받..
740호 / 학보사 | 대학 / 대학생들의 생성형 AI 활용법
대학생들의 생성형 AI 활용법 생성형 AI, 이제는 우리 삶 속에 깊숙이 스며든 기술이다. 해당 기술의 발전으로 대학생을 비롯한 많은 이들의 삶의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챗봇과 텍스트 생성 AI, 이미지 생성 AI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간과 일의 효율을 크게 증가시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기술로 평가받는 생성형 AI 기술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
740호 / 학보사 | 대학 / 총학생회, 단과대학 학생회의 논란들
총학생회, 단과대학 학생회의 논란들 전 총학생회장 및 단과대 학생회 임원의 장학금 우회 수혜, 총학생회 학잠 공동구매 미납품 사건 등 학내 자치기구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장학금 우회 수혜 논란 전 총학생회장, ‘이동주’와 단과대 회장, 부회장 리더십 장학금 우회 수혜 논란은 총학생회장 임기가 시작되기 전인 23년도 12월부터 불거졌다...
740호 / 학보사 | 대학 / 뉴스를 읽읍시다
뉴스를 읽지 않는 대학생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개한 ‘2023 언론수용자 조사’ 보고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 전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일주일 동안 네이버, 다음, 구글 등 포털 사이트나 검색 엔진을 통해 뉴스를 이용한 적이 있습니까?”에 “그렇다.”라고 답한 이들의 비율은 69.6%였다. 과반수가 넘는 비율임은 맞지만, 2017년 첫 조사..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