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에 대하여 전체 4293건의 검색결과가 검색되었습니다.)
720호 / 학보사 | 여론 / [칼럼] 세상을 바라보며
세상을 바라보며 글로벌경영학과 김은경 교수 글로벌 신흥시장을 조사하고 탐구하는 강의가 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지만 세계여행은 언감생심, 대신 지구본을..
721호 / 학보사 | 여론 / [기자석] 코로나19로 깨달은 일상의 소중함
코로나 19로 깨달은 일상의 소중함 6월 1일, 정부가 사실상의 코로나 팬데믹 종식을 선언하며 도입되었던 방역 조치가 대부분 해제되었다. 이는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약 3년 4개월 만에 이전의 일상생활로의 회복을 의미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발표한 6월 1일부터의 방역 수칙에서는 코로나의 위기경보 수준은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되었고, 전..
721호 / 학보사 | 여론 / [만평] 이번에도, 다음에도 응원
김다엘 기자
721호 / 학보사 | 여론 / [영화로 세상보기] 영화 어바웃 타임
[영화로 세상보기] 영화 <어바웃 타임> 사진 출처(watcha 홈페이지) 시간의 가치 길을 지나가는 사람에게 묻거나, 당장 옆에 있는 사람에게 물어도 답을 할 수 있는 질문이 있다. 바로, “당신은 당신의 인생에서 돌아가고 싶은 순간이나, 되돌리고 싶은 순간이 있나요?”라는 질문이다. 누구에게나 한번쯤 후회의 순간이나, 아쉬운 순간들 그리고 한 번 더 경험해 ..
721호 / 학보사 | 여론 / [책으로 세상보기] 다산의 마지막 습관,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것
[책으로 세상보기] 다산의 마지막 습관,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것 ▲다산의 마지막 습관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것)ㅣ조윤제 지음ㅣ청림 출판ㅣ2020 ‘공부의 끝에서 다산은 왜 처음으로 돌아갔는가?‘ 다산 정약용은 마흔이 될 때까지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살았다. 어렸을 때부터 천재 소리를 들었고 성균관에 들어가 뛰어난 능력을 인정받았다. 과거에 급제하면서..
734호 / 학보사 | 여론 / [만평] 뭐 입지
김다엘 부장기자
722호 / 학보사 | 여론 / 순간포착
순간포착 <시간의 물결> 어느덧 길었던 방학을 뒤로 하고 두 번째 학기가 찾아왔다. 길었던 시간이니만큼 여운도 남을 것이며 어쩌면 후회스러운 나날도 있을 것이다. 나름대로의 장황한 계획도 세워 뜻깊은 방학을 보내고자 그 누구보다 더 노력했을 것이다. 열심히 노력한 만큼의 결과가 나오지 못해 실망도 더 클 수 있으나 실은 그러한 후회, 실망감 등이 방학 ..
722호 / 학보사 | 여론 / [영화로 세상보기] "T와 F가 만나면, love", 영화
[영화로 세상보기] "T와 F가 만나면, love", 영화 <엘리멘탈> 영화 <엘리멘탈>/ 2023 “네 빛이 일렁일 때 정말 좋더라.” 불과 물의 사랑 이야기를 담은 영화 ‘엘리멘탈’에 나오는 대사 중 일부이다. 영화 제목인 ELEMENTAL은 <원소>라는 의미가 있다. 제목처럼 불, 물, 흙, 공기 4개의 원소가 사는 세상을 다룬다. 두 남녀 주인공은 우연한 계기로 만나게 된다. ..
722호 / 학보사 | 여론 / [책으로 세상 읽기] 우리가 놓치고 있던 수면의 중요성,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책으로 세상 읽기] 우리가 놓치고 있던 수면의 중요성,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매슈 워커/ 열린책들/ 2019 많은 학우들이 늦은 시간까지 공부를 통해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오랫동안 놀고 싶어서 같은 여러 이유들로 늦게 자거나 밤을 새워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밤샘은 정신적 문제를 떠나서 우리 신체의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파고..
722호 / 학보사 | 여론 / [만평] goodbye August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