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연
- 학위: 박사
- 사무실 : 미래백년관 R423호
- 연락처 : 02-2287-5443
- 세부전공 : 컴퓨터음악작곡, 멀티미디어전공

학위
- Stanford University, 컴퓨터음악작곡 박사
- MIT Media Lab
- Boston University, 작곡 석사
- 추계예술대학교, 작곡 학사
경력
- 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교수 (2009~)
- 인터미디어 퍼포먼스 랩(Intermedia Performance Lab.) 소장
- 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GSCT) 교수
- 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교수 (2009~)
- 인터미디어 퍼포먼스 랩(Intermedia Performance Lab.) 소장
- 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GSCT) 교수
- 프랑스 뽕삐두 센터 IRCAM(Institut de Recherche et Coordination d'Acoustique)선정 작곡가
- Artist Residency 선정 작가: Djerassi(USA), OMI(USA), CAMAC(France), Cite Internationale des Arts(France)
- Luigi Lussolo Computer Music Competition 장려상
주제별연구세미나
*교과목개요 실용음악 4-5학기 논문 과목으로, 소논문을 쓰는 사람들의 논문연구에 대한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한다. 매주 각자의 지도교수와 연구 진행한 방법을 토대로 논문의 방향, 목적, 방법 및 실험기준, 등을 정리하여 발표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교과목 목표 논문의 질과 내용의 향상을 위하여 다수의 참고문헌을 참조하며, 형식면에서도 정확성을 갖추도록 한다.
실용연주세미나
*교과목개요 실용음악 4-5학기 논문 과목으로, 소논문을 쓰는 사람들의 논문연구에 대한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한다. 매주 각자의 지도교수와 연구 진행한 방법을 토대로 논문의 방향, 목적, 방법 및 실험기준, 등을 정리하여 발표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교과목 목표 논문의 질과 내용의 향상을 위하여 다수의 참고문헌을 참조하며, 형식면에서도 정확성을 갖추도록 한다.
대중음악콘텐츠연구
*교과목개요 이 수업은 현재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대중음악콘텐츠를 각자의 주제로 연구분석하고 문제해결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협업적 분석과 토론이 지속적으로 재개(再改)된다. 직면한 현실적 문제들에 대한 더 나은 답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며, 이와 같은 사고과정으로 더 나은 프로젝트와 연계될 수 있도록 연구 제안서를 제출한다. *교과목 목표 각 사람의 전공 분야뿐만 아니라, 평소 다른 분야에 관심 있었던 주제를 논리적 사고로 구체화하는 연습과정이 동반된다. 각 팀은 최종 프로젝트를(온라인/오프라인을 포함) 매주 발표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매체에 따른 설계구성을 이해하기 위해 참고자료를 활용 및 분석하고 다양한 분야의 개념적 지식을 익힌다. 수업의 전반기는 기획 의도, 동기의 전개 방식 분석, 등을 검토한 토론 실습과정이 이루어진다. 중반기는 스토리 보드와 기술적 연계, 역할에 따른 기능적 분석 등이 이루어지며, 하반기는 예산을 포함한 실제 가능한 제작 범위, 프로젝트의 프로토타이핑 등을 제안서를 만들고 발표한다.
다음글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