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에 대하여 전체 4293건의 검색결과가 검색되었습니다.)
740호 / 학보사 | 대학 / 2025학년도 수시 논술고사 현장을 가보다
2025학년도 수시 논술고사 현장을 가보다 우리 대학은 2025학년도부터 논술고사를 도입하면서 입시 현장이 변화가 있었다. 논술고사 도입으로 수시 지원율이 상승한 가운데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2일까지는 실기, 면접, 논술고사가 진행되었다. 금년 새롭게 신설된 논술고사 관련 내용을 알아보고, 면접, 논술고사 당일 교정에서 예비 새내기들을 만나 인터뷰..
740호 / 학보사 | 대학 / 인턴을 고민하는 당신에게
인턴을 고민하는 당신에게 ▲'중고 신입에 대한 생각' 설문조사 결과 인포그래픽. (사진: 인크루트) 최근 신입에게도 직무 경험을 요구하는 기업이 늘면서 사회 경험이 있는 ‘중고 신입’ 선호 현상이 갈수록 두드러지고 있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올해 1월 인사 담당자 포함 직장인 95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중고 신입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는 설문조사 결..
741호 / 학보사 | 대학 / 공모전 열풍 뒤에 숨은 위험, 사기 피해 주의보
기승하는 공모전 사기 최근 대학생들이 취업의 문턱을 넘기 위해 학점과 자격증뿐만 아니라 공모전, 서포터즈 등 다양한 대외활동을 통해 스펙을 채우고 있다. 이 점을 이용하여 공모전을 열어 아이디어만 쏙 빼가거나, 공모전 참가비를 요구하고, 공모전인 척하며 종교를 권유하고, 공모전 진행 후 수료증이나 상금을 미지급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741호 / 학보사 | 대학 / 11월 12일, 양 캠퍼스에서 열린 문화행사
서울캠퍼스 2024 상명대학교 문화제 ‘Never Land’ ▲2024 상명대학교 문화제 포스터(출처: 상명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공식 인스타그램) 지난 11월 12일 서울캠퍼스에서는 2024 상명대학교 문화제 ‘Never Land’가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끼를 뽐내는 동아리 공연과 푸드트럭, 포토존, 여러 이벤트까지 학업에 지친 상명대학교 학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였다. 꿈..
742호 / 학보사 | 대학 / 2024 연말의 마무리, 학술제 행사
2024 연말의 마무리, 학술제 행사 학과에서 열리는 학술제는 학과 생활의 주요 행사이다. 각 학과의 학술제는 학업적인 성취 공유를 넘어서, 선후배 간 교류와 외부 전문가 특강을 통해 학문적 시야를 넓히고 미래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소중한 기회다. 특히, 각 학과 학생회가 준비한 특색 있는 이벤트와 진행은 학술제에 재미를 더한다. 학술제는 각 학과의 특..
744호 / 학보사 | 대학 / 사라지는 학과... 대학 교육의 미래는
대구대는 2021학년도 신입생 모집에서 지원미달로 난항을 겪은 뒤 학과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삶과 행동에 대한 것을 배우는, 사회학과는 기초학문이지만 지원미달의 파장으로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되었고, 취업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다. 많은 교수진과 학생들의 반발이 빗발쳤으나 취업경쟁률이라는 잣대 앞에 폐지를 막지 못했..
744호 / 학보사 | 대학 / 2025 대학 생활 미리보기 행사, 성황리에 끝나
새로이 학교의 구성원이 될 신입생들을 위한 대학교의 행사가 연이어 진행되었다. 대학 생활을 시작을 앞둔 신입생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대를 갖기도 하지만 막막함을 느끼기도 할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우리 대학에서는 예비대학, SM JOB MAP Expo 행사를 진행했다. 예비대학은 캠퍼스 생활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
744호 / 학보사 | 대학 / 등록금 인상, 학생들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지난 11일 샘물 포털에는 재정 운영을 위하여 부득이하게 등록금을 인상하게 되었다는 “2025학년도 등록금 책정 및 지원 방안 안내”라는 공지 사항이 올라왔다. 지난해부터 엄청난 물가 인상과 과거 16년간 동결되었던 등록금으로 대학 재정에 어려움을 겪던 많은 대학들은 등록금 인상에 나셨다. 전국 4년제 대학 등록금 인상 현황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744호 / 학보사 | 대학 / 신입생 가이드, 상명대학교를 소개합니다!
봄바람과 함께 설렘 가득한 새 학기가 시작되었다. 새로운 출발을 맞이한 신입생들의 두근거림과 복학생들의 반가운 재회로 캠퍼스는 활기가 넘친다. 아직 학교가 낯선 신입생과 복학생이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캠퍼스 내부 편의시설과 캠퍼스 근처 식당을 소개한다. 서울캠퍼스 편의시설 급하게 과제를 출력하거나 인쇄소에 인쇄를 맡기기 어려..
745호 / 학보사 | 대학 / 다전공이 궁금하다면? 다전공 필수 가이드
우리 대학의 졸업 요건은 심화 전공/다전공/부전공/마이크로전공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수 해야한다. 심화 전공을 선택할 경우제1전공의 심화된 내용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부전공은 제1전공 이외의 다른 학부(과)의 소정전공학점을 이수하면 졸업 시 부전공으로서 이수경력을 인정한다. 마이크로 전공은 융합 능력을 함양하고 타학문에 접근할 수 있는 ..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