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업기술진흥원 공고 제2024- 008호


2024년『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공고(수정)


대학 또는 농산업체·농업인이 개발한 기술개발제품을 현장에 설치하여 성능 시험 등의 실증 지원을 통해 신기술의 농업현장 확산을 촉진하는「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의 참여대학 모집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4년 1월 15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장



<사 업 요 약>

□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농촌진흥청 및 대학 또는 농산업체, 농업인이 개발한기술도입제품을 대학 현장에서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을 운영합니다.


□ 동사업은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하고 지정한 기술을 실증하는 유형(①유형), 학이 보유·개발한 기술로 제품을 실증하는 유형(②유형)과 
농업인·농산업체의 기술로 제품을 실증하는 유형(③유형)으로 구성됩니다.

* ① 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13개) ② 대학기술 협업형 ③ 농업인·농산업체 협업형


□ 산학협력지원 과제에 선정되면 1과제 당 최대 4권역 기준*으로 권역별 68백만원(최대 272)의 현장실증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합니다.

* 권역당 68백만원 내, 4권역 수행(수도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 국립 또는 특별법, 개별법에 의해 설립된 대학의 경우 지원대상에 포함


□ 기술보급제품의 현장실증에 필요한 비용은 아래 범위 내에서 지원합니다.

기술도입제품 제작에 필요한 재료비

② 권역별(4권역) 제품 실증·시연에 필요한 비용

③ 농업현장 컨설팅·교육에 관한 비용

④ 기술도입제품의 현장 실증·시험에 필요한 시험·인증 비용

⑤ 그 외 사무관리, 출장 등에 필요한 운영경비

- 1 -

1

공고 개요

. 사업명 :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

◆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이란?


농촌진흥청 및 대학, 농산업체 또는 농업인이 개발한 기술도입제품을 대학에 설치하여 성능을 실증하고, 농가에 교육하여 농업 신기술의 농업현장 확산을 유도하는 사업



 실증이란?


제품을 대학에 설치하여 농업인을 대상으로 기술과 성능을 검증하는 것


. 지원규모

18과제, 과제당 4개 지역 실증, 지역당 68백만원/과제

사업명

유형

과제 수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

Ⅰ. 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

2∼4과제 내외

Ⅱ. 대학기술 협업형

10∼14과제 내외

Ⅲ. 농업인·농산업체 협업형

2∼4과제 내외

18과제

※ 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 : [참고1] 확인


. 지원내용

과제 당 최대 272백만원(68백만원× 4권역, 국비100%)

○ 기술도입 시제품의 농업현장 적용에 필요한 비용 지원

-  기술도입 시제품제작과 설치, 권역별 제품시연, 농가컨설팅

-  신기술 실증에 필요한 기자재(종자, 농약 등) 구입

* 자산성 시설·장비 지원 불가

(예시)과제당 총 사업비 최대 272백만원(68백만원 × 4권역)

* 1과제에 대해 최대 4권역을 1개 대학에서 수행 할 때 기준 최대 272백만원

* 4권역 수행(수도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1과제에 단독 또는 다수의 대학이 컨소시엄 형태로 제안 가능

(단, 컨소시엄의 경우 주관대학, 공동대학 구분 필수) 

 국비 100%(자부담비 없음)

- 2 -

. 신청자격 등

1)공통 자격

○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  단, 사업연도 재정지원대학에 포함된 학교를 지원대상*으로 함

* 국립 또는 특별법, 개별법에 의해 설립된 대학의 경우 지원대상에 포함

※ [참고2] 2024학년도 정부 재정지원 가능대학 참고 

2)유형별 자격

유형

지원대상

Ⅰ. 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

◾ 참고1에 따른 기술에 대해 현장적용이 가능한 대학

*지식재산권(출원/등록)의 경우 관련 기술이전 등 행정절차 선행필수

Ⅱ. 대학기술 협업형

◾ 과제 접수 마감일 기준 자체개발한 농업 관련 기술1)을 보유한 대학

Ⅲ. 농업인·농산업체 협업형

◾ 과제 접수 마감일 기준 농업인·농산업체에서 개발한 기술1)을 이전받아 유지하고 있는 대학

1) 특허(출원/등록), 실용신안, 논문(SCI)게재에 한함

3) 지원분야

유형

지원분야

I. 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

기술

지정형

① 드론 활용 말벌집 퇴치 기술

② 도시농업용 소형온실 활용기술

③ 농작물 병해충 디지털 예찰 및 신속 진단 기술보급

④ 여름철 열대풍 초화 가로화단 식재 적합 화종 선발 및 모델 보급

⑤ 암환자 회복 관리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⑥ 다육식물 배송포장재 활용 포장기술 및 스마트 스토어 운영

⑦ 옥수수 보급종 순도 검정 기술

⑧ 신시장 개척과 국산 와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지원

⑨ 이상기상 대응 및 수출 촉진을 위한 포도 안정 생산 기술

⑩ 차열 및 초기 급액 조절을 통한 고온기 수경재배 방울토마토 안정생산

⑪ 양송이 균상재배 수확후배지 복토 분리 자원화 기술

⑫ 저온기 수박 보온관리용 소형터널 환경제어에 의한 자동개폐 기술

⑬ 동남아 수출용 참외 ‘엘리트꿀’ 품종을 이용한 선박 수출 실증 기술

Ⅱ. 대학기술 협업형

공모형

◾ 자유과제

Ⅲ. 농업인·농산업체 협업형

공모형

◾ 자유과제

* 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 세부내용은 [참고1] 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 참조

* 분야 :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촉진, 식량주권 확보, 농축산물 생산 및 수급 안정지원(농촌진흥청 업무추진방향에 부합하는 신기술)

- 3 -

4) 선정기준 및 결격사유

〇 대학별로 신청 시 복수의 과제를 신청할 수 있으나, 전체과제를 통합하여, 합계 8권역을 초과하여 선정하지 아니함

〇 사업책임자(교수)의 경우 복수의 과제를 수행할 수 없음

<대학 수행가능 과제기준(예시)>

○ A대학이 a과제 4권역, b과제 4권역 수행가능(8권역 이하)

○ A대학이 a과제 4권역, b과제 3권역, c과제 1권역 수행가능(8권역 이하)

○ A대학이 a과제 4권역, b과제 4권역, c과제 2권역 수행불가*(8권역 초과)

* 평가결과에 따라 고득점 순 수행대상 선정


〇 해당 과제에 적용되는 기술은 기술이전 계약체결일, 실시기간 시작일 모두 과제 접수마감일(2024. 2. 26.) 이전일 경우 인정

 응모 결격사유

① 신청자격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②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가 아닌 경우

③ 2024년도 재정지원대학이 아닌 경우(국립, 특별법, 개별법에 의한 설립에 경우 제외)

④ 기존 농촌진흥청에서 수행하는「신기술 보급사업」에 선정된 과제인 경우

⑤ 신청자가 접수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⑥ 기타 공고내용의 기본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 공고 및 접수

〇 공고 및 접수기간 : 24. 1. 15(월) ∼ 24. 2. 26(월) 14:00까지

접수방법 : 접수기간 내 전자우편(factmin@koat.or.kr)으로 제출분에 한함


. 과제 수행기간

 수행기간 : 협약체결일24. 11. 30. 

- 4 -

. 선정평가 일정

 신청자격 사전검토 : 24. 2. 27(화) ∼ 24. 2. 29(목)

 (1차) 서면 심사 :24. 3. 5(화)

 (2차) 대면(발표) 심사 :24. 3. 13(수) ∼ 24. 3. 14(목)

 (현장방문) 평가위원회 의견에 따라 필요 시 별도 실시

※ 신청자격의 사전검토 시 응모 결격사유에 해당할 경우 신청자격 사전검토에서 탈락될 수 있으며, 탈락 시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음

※ 선정통지 이후에도 신청(지원)제외 대상 등 결격사유가 발생한 경우, 선정취소‧협약해지‧사업비 환수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음

※ 서면심사, 대면심사 및 현장조사(필요 시) 세부일정 및 장소는 추후 통보하며 평가일정 변경될 수 있음

※ 외부요인으로 평가가 제한될 경우 일부 서면심사는 서류검토, 대면심사는 온라인 등으로 진행할 수 있음

※ 평가결과는 평가일정 종료 후 5일 이내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oat.or.kr) 및 사업책임자 이메일로 개별 통지 함

※ 접수된 자료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우대사항(가점)

   * 합산 최대 3점

구분

반영항목

가점

확인서류

국가공동연구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개발한 과제 

2

농촌진흥청 공동과제 수행결과서

과제수행

국가연구개발과제의 수행이 2건 이상인 경우

2

국가연구개발과제 수행확인서

공동수행

컨소시엄이 2개 대학이상으로 구성된 경우

1

사업계획서 내용/증빙확인

융복합기술

투입기술이 2개 이상 적용된 기술 및 제품

1

사업계획서 내용/증빙확인

농업인력 양성

농업인 대상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2

프로그램 운영실적서

농가확보

대학에서 시범지역에 위치한 농가를 섭외완료한 경우

2

농촌진흥협업

도농업기술원‧시군농업기술센터 연계 과제기획과 공동참여

2

- 5 -

2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〇 사업계획서 및 첨부파일을 전자우편으로 제출

-  파일명은‘대학교(사업책임자명)으로 하며, 계획서에 사업책임자의 주소, 연락처(유선전화 및 핸드폰), 이메일 주소를 반드시 기입

〇 사업계획서는 20페이지 내외로 작성

〇 사업과제제안서(양식1~5 포함)를 1개의 압축파일로 제출

-  신청기간 내 아래 접수처로 이메일 접수된 서류만 인정되며, 제출된 서류를 반납하지 않음(구비서류 미제출 시 접수 불가)

<접수처>

이메일 주소 : factmin@koat.or.kr (사업지원팀)


※ 접수마감일(’24.2.26. 월요일) 14시까지접수분 만 인정

< 제출서류 >

구분

제출서류

내용

비고

1

[양식1]사업신청서

필수

2

[양식2]공동응모협정서

다수의 대학이 동일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작성

해당시

3

[양식3]사업계획서

필수

4

[양식4]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주관, 공동을 포함하여 참여인력에 대해 작성

필수

5

[양식5]농업인 실증대상 필지 상세현황 총괄표

해당시

6

사업자등록증(법인등기부등본)

주관 및 공동 모두 제출필요

필수

7

참여연구원 소속 확인서류

책임자를 포함한 참여인력의 4대보험, 재직증명서, 원천징수 등 소속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필수

8

(유형1) 추천기술 적용확인서

(유형2,3) 기술 보유확인서

(유형1) 기술이전계약서 또는 기술전수확인증빙(이메일 교신자료 등)

(유형2,3)기술(특허, 논문) 보유 및 이전 관련 증빙 가능한 서류 

필수

9

과제 차별성 검토

NTIS 과제차별성 검토 결과서(유사도 60, 2002~2024)

필수

〇 문의사항

-  (사업기획)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 063 -  238 -  0972

-  (I유형 기술설명) 제안기술서 하단 연락처(농진청 소속기관)

-  (사업제안서 작성 및 접수)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사업지원팀 : 063 -  919 -  1356

- 6 -

3

과제선정 절차

가. 평가방법 : 3단계 평가

<평가단계>

<평가방법>

<평가위원>

사전검토

2.27.∼29.

신청서류에 대한 

신청자격 적격성 검토

한국농업기술진흥원

 

* 신청자격 및 제출서류 검토

1차 서면심사

3.5.

신청서류에 대한 서면심사

(사전검토 결과 적격자 대상평가)

기술선정위원회

 

* 서면평가 평점 60점 이상인 과제 중 당해연도 지원규모의 2배수를 대면평가 대상으로 함

2차 대면심사

3.13.∼14.

대면심사

(서면심사로 선발된 과제)

기술선정위원회

 

* 대면평가 평점 60점 이상인 과제를 심의위원회 상정대상으로 함

과제선정

및 협약

서면심사 점수 × 0.5 + 대면심사 점수 × 0.5 + 우대가점

* 종합평점과 정책방향, 예산규모 등 심의위원회 의결에 따라 협약대상 과제 및 차순위 예비후보 과제선정

※ 위원회에서 현장방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과제의 경우, 대면심사 후 현장방문을 실시할 수 있으며 평가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 7 -

4

행정 사항

가.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농촌진흥청 연구개발사업에 참여 제한 중인 연구자 및 기관은 과제를 신청할 수 없음(사업책임자, 공동책임자, 참여연구원 모두 해당)

※ 과제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신청마감일 전일까지 제재기간이 종료되어야 함

나. 모된 사업계획서는 평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제출된 사업계획서는 반환하지 않음

다. 발표평가 시 사업담당부서와 사전협의 없이 응모책임자 이외의 자가 발표하는 경우 탈락될 수 있으며, 탈락 시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음

라. 사업책임자 소속기관의 장은 평가결과 통보를 접수한 후 10일 이내에 평가일정 미공지 등 평가기관의 명백한 행정오류에 대해서만 1회에 한하여 이의를 신청할 수 있음. 단, 평가위원 선정, 평가절차 및 방법, 평가결과 등에 대해서는 이의신청을 할 수 없음

마. 접수 마감일 전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을 통해 신규로 기술이전을 받고자 할 경우, 3주 내외의 행정처리 기간이 소요되므로 참고할 것

바. 최종 선정 후 협약 시 필수 제출 사항으로 이행(지급)보증보험 증권(또는 전문기관이 인정하는 서류)이 청구되므로 신청 연구개발기관은 사전에 제출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야 함

사. 문의사항은 담당부서에 연락 바람

구  분

담당부서

연락처

산학협력지원 문의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사업지원팀

063) 919 -  1356

- 8 -

【양식 1】사업신청서

【양식 2】공동응모협정서

【양식 3】사업계획서

【양식 4】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양식 5】농업인 실증대상 필지 상세 현황 총괄표


【참고 1】[유형1]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

【참고 2】2024학년도 정부 재정지원 가능대학

【참고 3】사업비의 비목별 사용용도 및 계상기준

【참고 4】설정 목표지표

【참고 5】2024년도 공고과제 평가기준

- 9 -

[양식1] 사업신청서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신청서

사업명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

과제

번호

작성하지 말 것

유형

(체크 )

□Ⅰ유형, □Ⅱ유형, □Ⅲ유형

실증과제명

무인관제기술을 적용한 00파종기의 현장실증, I유형은 추천기술명

신청기관

정보

1) 주관대학

대학, 학과명

사업

책임자

전화

주소

전자우편

휴대전화

2) 공동대학

대학, 학과명

책임자

전화

주소

전자우편

휴대전화

3) 공동대학

대학, 학과명

책임자

전화

주소

전자우편

휴대전화

4) 공동대학

대학, 학과명

책임자

전화

주소

전자우편

휴대전화

기술명칭

00 파종기의 제어방법(A대학교)

I, II,Ⅲ유형 제안근거

출원번호:10- 2009- 00000000 (등록번호:10- 0000000) 

* 특허(출원/등록), 실용신안, 논문(SCI)게재명 자세히 기재

실증제품(안)

00 파종기, 00 제어시스템 등

총 사업비

총    천원(권역별 00천원)

권역별

(예상)

실증지

1권역

(실증대학 : OO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농가확보 

확보(농가수 : )

2권역

(실증대학 : OO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농가확보

확보(농가수 : )

3권역

(실증대학 : OO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농가확보

확보(농가수 : )

4권역

(실증대학 : OO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농가확보

확보(농가수 : )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 공모에 있어, 공모요강을 준수하고, 본 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고자 참가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2024년  00월  00일


주관      대학교 책임자 :                (인)

공동      대학교 책임자 :                (인)

공동      대학교 책임자 :                (인)

공동      대학교 책임자 :                (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 귀하

- 10 -

[양식 2] 공동응모협정서     * 권역별 컨소시엄 참여일 경우

공 동 응 모 협 정 서


제1조 (목적) 이 협정서는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공모를 (           )와 (           )와 (           )가 공동으로 응모하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 기관(대학)이 준수하여야 할 사항을 정함에 있다.

제2조 주관응모 대학교(이하 주관대학과 같다)의 명칭, 사무소의 소재지 등은 다음과 같다.

1. 대  학  명 :

2. 소  재  지 :

3. 대표자성명 : 

제3조 (공동응모의 구성원) 주관대학을 제외한 공동응모대학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필요시 추가

1. 대학명 :                      (소재지 :                         대표자 :       )

2. 대학명 :                      (소재지 :                         대표자 :       )

제4조 (공동응모 비율) 공동응모 비율은 다음과 같다.  * 권역별 분배이므로 1/n

1. 주관대학명 :                  (응모비율 :           )

2. 공동응모대학명 :              (응모비율 :           )

3. 공동응모대학명 :              (응모비율 :           )

제5조 (주관대학의 권한) 주관대학은 공동 응모기관 및 제3자에 대하여 공동 응모대학의 구성원을 대표하여 문서의 제출 및 수령, 권리의 획득 및 포기 등에 관한 의사 표시 권한을 가진다.

제6조 (효력기간) 본 협정서는 당사자 간의 서명과 동시 발효하며, 본 대학은 공모의 이행으로 종결된다.

제7조 (의무) 공동응모대학 구성원은 제1조에서 규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의를 바탕으로 성실하게 필요한 모든 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것을 약속한다.

제8조 (구성원 상호간의 책임) 구성원은 과업수행과 관련하여 제3자에게 끼친 손해 및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에게 끼친 손해를 구성원 상호간 협의하여 배상한다.

제9조 (권리·의무의 양도제한) 구성원은 이 협정서에 의한 권리·의무를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다.

제10조 ① 구성원 중 주관대학이 중도에 탈퇴하거나 그 일원의 탈퇴로 응모자격요건에 미달하게 될 경우에는 응모작품을 제출할 수 없다.

② 구성원 중 일원이 중도 탈퇴하였을 때에는 즉시 관계기관에 서면으로 신고하며, 탈퇴대학을다른 대학으로 교체할 수 없다.

제11조 (협정서 작성 및 보관) 위와 같이 공동응모 협정서를 체결하고 그 증거로 협정서(  )통을 작성하여 각 통에 구성원이 기명 날인하여 각각 보관한다.


2024.  .   .

○ 주관대학

대  학  명 :                                   (전화번호)

소  재  지 :

책  임  자 :                                   (인)

○ 공동응모 대학의 구성원

대  학  명 :                                   (전화번호)

소  재  지 :

책  임  자 :                                   (인)

○ 공동응모 대학의 구성원

대  학  명 :                                   (전화번호)

소  재  지 :

책  임  자 :                                   (인)

- 11 -

[양식3] 사업계획서

※ 사업계획서 양식 필요시 일부 변경 가능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

사 업 계 획 서








20   .   .   .






제출자

주관대학명

사업책임자

공동대학명

공동책임자

공동대학명

공동책임자

공동대학명

공동책임자

- 12 -

사업개요

사업명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

과제

번호

작성하지 말 것

유형

(해당에 체크)

□Ⅰ유형, □Ⅱ유형, □Ⅲ유형

과제명

무인관제기술을 적용한 00파종기의 현장실증

기술명칭

00 파종기의 제어방법(A대학교)

권리번호

출원번호:10- 2009- 00000000 (등록번호:10- 0000000)  Ⅰ유형의 경우 생략

실시계약

2000.00.00. ~ 2000.00.00.

실증제품(안)

00 파종기, 00 제어시스템 등

사업기간

2024. 04. 01. ∼ 2024. 11. 30.(00개월)

총 사업비

총    천원(권역별 00천원)

권역별

실증지

1권역

(실증대학 : OO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평동로 457

2권역

(실증대학 : OO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평동로 457

3권역

(실증대학 : OO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평동로 457

4권역

(실증대학 : OO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평동로 457

사업참여대학

주관대학

책임자

전화

주소

전자우편

휴대전화

공동대학

책임자

전화

주소

전자우편

휴대전화

공동대학

책임자

전화

주소

전자우편

휴대전화

공동대학

책임자

전화

주소

전자우편

휴대전화

성과목표

(대표지표

+과제 자체지표)

지표명

목표

가중치(%)

(고유)신기술확산률

-

5%

40

(기관)작업능률개선

10a/hr

20a/hr

30

(기관)자동화율

-

50%

30

합계

100

사업내용

주요

사업내용

* 최소 200자 ∼ 최대 1000자 내외 작성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최소 200자 ∼ 최대 1000자 내외 작성

- 13 -

기관(대학)개요

1. 추진체계

(1) 기관 구성          * 단독일 경우 편집해서 사용

주관대학

참여연구원

담당내용

A대학교

사업책임자(○○○)외

○○명

공동대학

참여연구원

담당내용

B대학교

공동책임자(○○○)외

○○명

공동대학

참여연구원

담당내용

C대학교

공동책임자(○○○)외

○○명

2. 사업책임자 및 실무담당자

A대학교

(주관)

사업

책임자

성명

국적

기관명

전화번호

학과/부서

휴대전화번호

직위/직급

전자우편

주소

실무

담당자

성명

국적

기관명

전화번호

학과/부서

휴대전화번호

직위/직급

전자우편

주소

B대학교

(공동)

사업

책임자

성명

국적

기관명

전화번호

학과/부서

휴대전화번호

직위/직급

전자우편

주소

실무

담당자

성명

국적

기관명

전화번호

학과/부서

휴대전화번호

직위/직급

전자우편

주소

C대학교

(공동)

사업

책임자

성명

국적

기관명

전화번호

학과/부서

휴대전화번호

직위/직급

전자우편

주소

실무

담당자

성명

국적

기관명

전화번호

학과/부서

휴대전화번호

직위/직급

전자우편

주소

- 14 -

3. 참여인력

순번

기관명

학과/부서

성명

직위/직급

역할

주요수행 업무

1

A대학교

기계공학과

홍길동

교수

사업책임자

00 파종 농기계 현장실증 총괄

2

3

4

5

4. 관련 과제 수행이력  사업내용과 관련있는 과제 중 최근 5년간 5개 이내로 작성 

중앙행정기관

세부사업명

과제명

주관기관

연구기간

(참여기간)

역할

(책임자/연구원)

비고

(신청/수행중/완료)

당시소속기관

yy.mm.dd~yy.mm.dd

(yy.mm.dd~yy.mm.dd)

yy.mm.dd~yy.mm.dd

(yy.mm.dd~yy.mm.dd)

yy.mm.dd~yy.mm.dd

(yy.mm.dd~yy.mm.dd)

yy.mm.dd~yy.mm.dd

(yy.mm.dd~yy.mm.dd)

yy.mm.dd~yy.mm.dd

(yy.mm.dd~yy.mm.dd)

- 15 -

적용기술·실증제품 개요

1. 적용기술   * 복수의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표를 추가하여 기입

구  분

내 용

기술명칭

00 파종기의 제어방법(A대학교)

제안근거

출원번호:10- 2009- 00000000 (등록번호:10- 0000000), 
* 논문(SCI)게재의 경우 논문게재지, 논문명, 권(호), 

실시계약

기술이전 받은 경우, 2000.00.00.∼2000.00.00.


2. 실증제품 정보

구 분

내 용

제품명

00 무인 파종기

제품특성·특징

6열식 파종기로 무인으로 농작업 운영이 가능

파종소요시간은 20a당 1hr 소요

제품인증

KC인증


3. 실증제품 사진

(사진 또는 이미지)

(사진 또는 이미지)

< 설명란 >

< 설명란 >

- 16 -

실증제품의 현장검증 필요성

1. 신청제품의 현장검증 필요성

1) 제품실증의 필요성 

(작성방향)♣ 과제와 관련되는 국내·외 현황·문제점·전망, 과제의 필요성, 정부 정책과의 연관성 등을 구체적으로 기재


2) 실증 목표

① 실증목표

(작성방향)♣ 동 사업 참여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되, 수행하고자 하는 기술(또는 공정)의 수준·성능 및 품질을 기재


② 주요내용

(작성방향)♣ 과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행할 세부기술의 내용 및 범위(이전기술, 보유기술), 현장실증 제품에 대한 사양·성능·용도·기능 등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서술


2. 적용 제품 차별성

1) 적용기술 제품의 우수성 및 차별성 등

(작성방향)♣ 기존 과제 및 기술현황과의 차별성 중심으로 기재

ex) 기존 유사제품 대비 자동화율 00% 등

2) 장비 및 서비스 개요

3) 유사제품의 현황

제품명

기관명

기술·제품 특징

단점

성능, 특성




- 17 -

현장실증 추진계획

1. 현장실증 수행계획

(작성방향)♣ 과제를 수행하여 최종 목표달성을 위한 과정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

1) 제품 고도화 계획

(작성방향)♣ 현장실증 시 활용되는 제품의 제작·보완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


2) 현장실증 계획

(작성방향)♣ 제품화 후 현장실증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설명


① 권역별 실증지

권역별

실증지

1권역

전라북도 익산시 평동로 457

2권역

해당 시 작성

3권역

해당 시 작성

4권역

해당 시 작성


② 세부실증계획

(작성방향)♣ 세부실증, 성과목표의 추진계획 등 구체적으로 설명


2. 실증농가 확보 현황 및 확보 방안

(작성방향)♣ 권역별 실증농가 확보방안, 규모, 농가 수 등 구체적으로 설명

♣ 농가확보가 이미 완료된 경우 확보된 농가 정보 작성

- 18 -

2. 과제수행 일정

구 분

추진 과제

1∼2분기

3분기

4분기

3

4

5

6

7

8

9

10

11

12

계획수립 및 설계

① 

② 

③ 

④ 

재료구입 및 제품제작

① 

② 

③ 

④ 

서비스 보급

① 

② 

③ 

④ 

성능점검

① 

② 

③ 

④ 


- 19 -

성과목표

1. 성과목표

(작성방향)♣ 필수지표는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며, 선택지표 중 2개를 선택하여 과제의 성과목표로 설정

성과지표

지표 성격

목표

지표설명

투입

사업집행도

선택

80%

세부사업 계획대비 집행한 실적

과정

교육‧현장지원,

평가회 개최실적

선택

10건 이상

대학이 농업인(국민)에 대해 전문교육
또는 기술지원한 실

*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LMS시스템을 통한
실적 관리(필요시)

협업실적

선택

2건 이상

사업계획과 연계하여 지방농촌진흥기관 및 농업분야 기관(연구회 등) 등과 협업한 실적

산출

홍보성과

선택

3건 이상

추진성과 홍보실적(중앙지, 일간지, 전문지 등)

기술수준 향상실적

필수

3.5점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신기술 보급 후 기술수준이 향상한 실적(참여농가 만족도 조사 후 평균)

결과

자체확산 제안(반영)실적

선택

1건

대학에서 추진한 사업을 지자체사업 등으로 반영 또는 자체 보급한 실적

신기술 기술활용률

필수

20%

이상

활용기술* / 활용대상기술 × 100

* 기술이전 건, 전략적 활용활동** 기술

시범농가 

비용절감률

선택

10%

근농가 경영비(천원/10a) -  시범농가 경영비(천원/10a) / 인근농가 경영비×100

기술창업 실적

선택

2명

신기술을 반영하여 신규 창업한 인원

- 20 -

활용전략 및 계획

1. 국내외 시장동향 및 파급효과

(작성방향)♣ 국내외 시장규모와 산업화(시장확장) 가능성을 보유(또는 검색) 자료에 근거하여 논리적으로 기술, 각 항목별로 주어진 도표만 작성하는 것이 아닌 서술을 통해서 부연설명 가능


2) 현장실증 제품의 파급효과

(1) 농산업 파급효과


(2) 경제산업적 효과


(3) 사회적 효과


- 21 -

사업비 소요명세

1. 사업비 총괄표

1) 국비 : 000,000,000원 (00.0%)

(단위 : 천원)

항목

비목

산출 내역

금액

비고

제품

고도화

◦ 

-  

◦ 

-  

◦ 

-  

농가

확산

보급

◦ 

-  

◦ 

-  

◦ 

-  

합계

- 22 -

2. 권역별 사업비 총괄표

(단위: 천원)

구분

직접비

간접비

(총 사업비의 10%미만)

합계

인건비

(총사업비의 50%미만)

운영경비

신기술확산비

과제수당

A대학교

B대학교

합계



- 23 -

[양식4]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사 업 명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

과 제 명

기관

주관

공동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원의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를 중요시하며, 「국가연구개발혁신법」제19조, 제20조,「개인정보보호법」제15조, 제17조, 제22조 및 제24조, 「국세기본법」제81조의13제1제7호에 따라 아래와 같이 동의를 얻고자 합니다.


아래 사항을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하시는 경우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수집ㆍ이용 목적

✓ 참여제한, 채무불이행 정보 등 신용조회 및 기타 사전지원제외, 사후관리 대상 여부의 확인

✓ 평가위원 선정 시 평가대상과제와의 이해관계 (참여연구원 등) 여부의 확인

✓ 과제 선정, 보고서 제출, 기술료 납부, 협약 및 협약변경  등 과제의 선정‧평가 및 관리

✓ 총괄책임자와 참여연구원의 연구비 사용‧정산 및 과제 수행의 적법・적정성 평가를 위한 관리

✓ 만족도 조사, 사업 및 경영활동 안내 등 사후관리

○ 수집하는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항목

✓ 개인 성명(영문), 성별, 생년월일, 국가연구자번호, 소속기관, (자택, 직장) 주소, (사무실, 휴대폰) 전화번호, 전자우편 주소, 학력(학교, 전공, 학위, 연구분야 등), 경력, 특허/논문 실적,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실적, 현재 수행 중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인건비 계상률, 지급기준 정보(연봉; 월 수령가능금액 등), 연구개발비 지출을 위한 신용카드 및 금융거래내역, 국가연구자번호, 채무불이행 정보 등 재무건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신용정보 등 인적사항, 전자세금계산서의 거래내역, 과세정보(연구개발비 지급 심사에 필요한 과세정보에 한함)

○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보유ㆍ이용 기간 : 동의서가 작성된 시점부터 상기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수집·이용 목적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관한 동의 여부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국가연구자번호 처리 동의

 국가연구자번호 처리목적 

✓ 참여제한, 채무불이행 정보 등 신용조회 및 기타 사전지원제외, 사후관리 대상 여부의 확인

✓ 평가위원 선정 시 평가대상과제와의 이해관계 (참여연구원 등) 여부의 확인

○ 국가연구자번호 보유ㆍ이용 기간 : 동의서가 작성된 시점부터 상기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 국가연구자번호 수집 및 이용 동의 여부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24 -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동의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목적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여부 확인 및 채무불이행 정보 등 신용조회

✓ 감사원 감사, 국정감사시 과제수행현황(참여연구원) 등 요구자료 제공

✓ 연구개발 사업 관련 타 전문기관의 동일업무 수행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농촌진흥청 등 중앙행정기관, 국회, 감사원 등 정부기관,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등 전문기관, 연구개발비 관리 및 취급은행, 국가 R&D 기획, 평가관리 및 성과조사, 기술료 징수 등의 전문기관으로부터 업무의 일부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기관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이용목적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의 적법·적정성 판단    * 과제수행에 대한 적법·적정성 판단

* 과제 선정, 평가, 관리 업무의 수행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개인 성명(영문), 성별, 생년월일, 국가연구자번호, 소속기관, (자택, 직장) 주소, (사무실, 휴대폰) 전화번호, 전자우편 주소, 학력(학교, 전공, 학위, 연구개발분야 등), 경력, 특허/논문 실적,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실적, 현재 수행 중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인건비 계상률, 지급기준 정보(연봉; 월 수령가능금액 등), 연구개발비 지출을 위한 신용카드 및 금융거래내역, 국가연구자번호, 채무불이행 정보 등 재무건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신용정보 등 인적사항, 전자세금계산서의 거래내역, 과세정보(연구개발비 지급 심사에 필요한 과세정보에 한함)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자의 개인정보 보유ㆍ이용 기간 : 동의서가 작성된 시점부터 상기 개인정보 제3자 제공목적 달성시까지

■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유의사항 : 귀하는 상기 동의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집 항목은 과제 수행에 반드시 필요한 사항으로, 이에 대한 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업 참여 등에 제한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소속기관

성명

직급(직위)

국가연구자번호

성별

정보 이용 동의 (서명)

남/여


* 사업책임자 및 과제에 참여하는 모든 연구원을 기재하여야 함



년        월        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장귀하

- 25 -

[양식5] 농업인 실증대상 필지 상세 현황 총괄표

※ 본 사업 실증 농가 전체 목록을 작성

연번

성 명

재배품목

재배면적

(m2)

평균소득

농가

운영기간

지역

(시·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6 -

참고1

(유형1) 농촌진흥기관 추천기술





추천기술에 대한 세부문의는 하단 연구개발자에 개별연락 요망

- 27 -

추천기술명

① 드론 활용 말벌집 퇴치 기술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말벌집 퇴치작업 기계화를 통한 등검은말벌 피해 경감 필요

-  사다리, 고소작업차, 장대 등은 안전사고 위험성 높고 제거효율 낮음

-  새로 개발된 말벌집 드론퇴치기를 이용해 말벌집에 직접 살충제를 살포함으로써 등검은말벌 방제 효과 향상 및 안전사고 예방 필요

□ 기술정보

○ 말벌집 드론 퇴치기

 

-  형식 : 드론 탑재형 

· 말벌집 타공 동시 약액 살포

-  제원 : 1,510(L)×1,510(W)×750(H), 25kg 미만

-  방식 : 원격조종 및 모니터링 측방 살포

○ 성능 : 3L/분, 10L탑재, 최대 300타공/분, 최대 5m, 살포 각 +10, - 5도

- 친환경 약제 및 탄환* 적용, 약효 반응 5분 이내, 살충율 99%

* (약제) 제충국추출물 10%, 설탕 5, 꿀벌 추출물 0.1, 개미산, 물 등, (탄환) 옥수수 전분

 
 
 

<말벌집 드론 퇴치기>

<방제 모습>

<방제 후 말벌집>

○ 산출기초(소요예산) : 드론 1기 기준 

품   명

단위

규 격

수량

금액 (원)

30,000,000

타공 동시 분무시스템

set

타공 : 300타공/분

분무 장치 : Max. 3L/분

1

3,000,000

드론 플랫폼

set

6~8엽 회전 날개형, 방수 모터, 경량 카본 몸체 등  

1

12,000,000

드론용 타공 분무 제어기

set

비행, 타공, 분무 제어 전용 모듈 탑재형, 실시간 모니터링 송출기 포함

1

6,000,000

배터리 및 부속품

set

전용 배터리(4set) 및 기타 악세사리 등

1

4,000,000

방제 약제 및 탄환 등

제충국화합물(10배액),

전용 탄환 등 농자재

5,000,000

* (친환경 약제) 제충국추출물 10%, 설탕 5, 꿀벌 추출물 0.1, 개미산, 물 등, (탄환) 옥수수 전분

□ 기술투입효과

○ 말벌집 제거 노력·비용 절감 및 안전사고 예방

-  절감 효과 : 노력 0.3 시간/회(85%↓), 비용 32,350원/회(42.9%↓)

-  벌 쏘임, 추락 등 안전사고 예방 및 인적 손실 위험 제거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밭농업기계화연구팀 유승화

(063- 238- 4004, e- mail : yush6210@korea.kr)

추천기술명

② 도시농업용 소형온실 활용기술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국내 환경에 적합한 소형온실 모델을 보급함으로써 도시농업 활성화 지원

-  연중 날씨에 상관없이 주거지 인근에서 농업활동을 통한 돌봄‧교육 등 확대 

□ 기술정보

○ 도시농업 생활밀접형 소형온실 : 4개 유형(예시)

① 양지붕형 유리 소형온실 : 학교 텃밭 온실 

② 양지붕형 경질판 소형온실 :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온실 

③ 더치라이트형 유리 소형온실 : 개인 주택 온실 

④ 아치형 비닐 소형온실 : 공동체를 위한 다목적 온실

○ (현장실증연구) 도시농업용 생활밀접형 소형온실 현장 실증(’23)

 
 
 

<소형온실에서 작물재배>

<소형온실 이용 도시농업 활동>

○ 산출기초(소요예산) : 소형온실 4동기준

품   명

단 위

규 격

수 량

금액 (원)

50,000,000

양지붕형(유리)

set

18m2

(3×6m)

1

15,000,000

양지붕형(PC판)

set

18m2

(3×6m)

1

15,000,000

더치라이트형(유리)

set

22.8m2

(3.8×6m)

1

15,000,000

아치형(비닐)

set

18m2

(3×6m)

1

5,000,000

□ 기술투입효과

○ 구조안전성 및 유니버설 디자인을 고려한소형온실 이용기술 확립

○ 소형온실을 이용한 도시농업 활성화에 기여

○ 농업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기여

○ 소형온실 현장 실용화 및 생산시장 창출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에너지환경공학과 김형권

(063- 238- 4079, khgweon@korea.kr)

- 28 -

기술명

③ 농작물 병해충 디지털 예찰 및 신속 진단 기술보급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기후변화로 인한 외래해충 유입과 주요 농작물 해충 발생 변동 심화

○ 외래해충 감시, 주요 병해충 발생 예찰을 수행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무인 예찰 장치, 진단법 활용 및 현장 확산으로 신속 진단

□ 기술정보 

○ 무인 해충 예찰 장치, ‘오토롤트랩’

-  미소곤충, 페로몬트랩 등 활용 형태로 다양한 해충 맞춤형 예찰

○ 복숭아 잿빛무늬병의 특성 및 구별방법

-  개화기 이후 복숭아 신초 및 어린 가지가 고사하는 증상에서 병원균을 분리배양하면 잿빛무늬병균>줄기마름병균 순으로 분리배양

○ 복숭아 세균구멍병 진단용 표준영상 및 정보제공

○ 자두, 매실나무에 발생하는 줄기썩음병의 병징 및 원인균 구명

○ 복숭아 줄기썩음병의 피해증상 및 관리방안

-  병든 부위에서 병원균을 분리한 결과, Botryosphaeria dothidea   병원균에 의한 복숭아 줄기썩음병으로 확인

○ 고추에서 탄저병균 Colletotrichum scovillei를 검출하기 위한 반선택 배지

-  고추 포장 내 1차 전염원의 월동처 파악, 병원균 검출, 분리, 동정 및 재배 시기별 병원균 밀도를 정량화를 위한 반선택 배지 개발

 
 
 
 

오토롤트랩

살구 줄기썩음병

복숭아 줄기마름병

반선택배지

○ 산출기초(소요예산) : 권역별 기준

구  분 

산 출 내 역(개소당)

금 액(천원)

연구장비

◦ 트랩 설치 : 5,500천원 × 4대 = 22,000천원

22,000

재료비

◦ 병원체 분석, 소모품 등

7,000

현장활동비

◦ 교육훈련비, 세미나 개최비 등

8,000

인 건 비

◦ 연구원 : 100천원/일 × 20일 × 6월 × 2인 = 24,000천원

24,000

여 비

◦ 국내여비 : 100천원×10회 × 6월 × 2인 = 12,000천원

12,000

합  계

73,000

* 권역별(4개시군 기준), 5작목(사과, 배, 복숭아, 단감, 감귤), 병해충 10종

□ 기술투입효과

○ 다양한 농업해충 예찰 무인자동화 및 정밀원격예찰 가능

-  절감 효과 : 조사비용 1,042,000원/년 (92.8%↓) 등 총 조사비 573,000원/년 (43.2% ↓) 절감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최경산

(전화 : 063- 238- 6330, e- mail : mutant8@korea.k)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이하경

(전화 : 063- 238- 6313, e- mail : ilikepork@korea.k)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홍성기

(전화 : 063- 238- 3275, e- mail : sukihong@korea.kr)

- 29 -

추천기술명

④ 여름철 열대풍 초화 가로화단 식재 적합 화종 선발 및 모델 보급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국내 농업 외연 확대의 일환으로 식물임대업 활성화 필요

-  식물임대 산업 생태계 육성으로 국내 화훼 이용률 제고

* 외국의 경우 거리화단 및 화분을 위탁관리하는 식물임대업 활성화

○ 도심지 내 미적자원으로 화훼 이용에 대한 국민 관심 고조

-  다채로운 거리화단 조성으로 도심경관에 대한 국민 기대 부흥

□ 기술정보

○ 여름철 열대풍 초화 가로화단 식재 적합 화종

-  직립형 중심꽃: 무늬 칸나, 토란, 드라세나, 코르딜리네 등 

-  모양 꽃: 꽃베고니아, 뉴기니아임파티엔스 등 

-  무늬잎 꽃: 콜레우스 등 

-  덩굴 꽃: 관상 고구마, 알테르난테라, 디콘드라 등

○ 여름철 열대풍 초화 가로화단 식재 모델: 화단형(4), 화분형(12)

 
 
 

<화단형 4종>

<화분형 6종>

<화분세트형 6종>

○ 산출기초(소요예산)

품   명

단위

규 격

수량

금액 (원)

50,000,000

묘 생산

5치분

10,000

30,000,000

식재 및 운반 인부임

보통인부

20

2,000,000

가로화단 관리 인부임

보통인부

36

3,600,000

화분 세트

80*40*40 등

40

8,800,000

토양, 퇴비, 관수설비 등

세트

-

10

5,600,000

□ 기술투입효과

○ 식물임대 산업 육성을 통한 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 창출

○ 화훼 부가가치 향상 및 농업 외연 확대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서정남

(063- 238- 6822, suhjn@korea.kr)

추천기술명

⑤ 암환자 회복 관리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암 발생율 및 암 생존율(70%) 증가에 따른 보완치료에 대한 관심 증가

-  암 환자 사회복귀 지원을 위한 보완 치료로써 치유농업 도입 및 활성화

□ 기술정보

○ ‘인지행동- 이완- 사회적지지’전략 도입 원예기반 치유농업 프로그램

-  대상 : 실내외 활동이 가능한 암 진단 경험자 10∼15명

-  회기 : 8회기(주 1회, 90∼120분/회)

-  내용 : 식물 가꾸기, 장식 및 꾸미기 등 원예활동

-  평가 : 우울, 불안, 스트레스 지수 등 측정

○ 산출기초(소요예산) : 8회기 기준

품   명

단 위

규 격

수 량

금액 (원)

20,000,000

재료비

15명 * 8회기

3

5,400,000

버스 임차

여행자보험 포함

3

3,000,000

장소 임차

치유농장

3

900,000

전문가 활용비

주진행자 및 보조진행자

(8회기)

3

8,400,000

평가장비

HRV 측정 패키지

2

2,300,000

□ 기술투입효과

○ 원예기반 치유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원예산업 활성화

-  전체 암환자 참여 가정 시 농가 소득 증대액 : 43억원 추정

○ 치유농업 프로그램 확산으로 치유농업 전문가 일자리 창출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이상미

(063- 238- 6921, sangmilee@korea.kr)

- 30 -

기술명

⑥ 다육식물 배송포장재 활용 포장기술 및 스마트스토어 운영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다육식물 배송을 위한 배송포장재 선발 및 포장기술 필요

 농가단체의 온라인 상품판매를 위한 유통채널 운영 및 홍보 필요

□ 기술정보

○ 다육식물 배송포장재 및 포장기술

-  녹화마대, PC관, PET 케이스, 수축필름 등 포장재 활용 기술

○ 벽면녹화 인테리어 화분 및 선인장 다육식물 소재

-  관상가치 우수 식물 추천 : 비모란, 피치프라이드 등 33종

○ 농가단체 스마트스토어 및 유튜브 판매채널 운영 

 
 
 

<PET 케이스 포장법>

<벽면녹화 인테리어 화분>

<스마트스토어>

○ 산출기초(소요예산) : 스마트스토어 연간 운영 기준

품  명

단위

규 격

수량

금액 (원)

46,000,000

배송포장재

set

PC관, PET케이스 

배송박스

1

5,000,000

벽면녹화 인테리어 화분

set

화분 대, 중, 소

1

5,000,000

스마트스토어 운영자

2,000천원/월 × 12

1

24,000,000

상품기획 및 홍보

상품기획 및 홍보, 상세페이지 제작 등  

4

12,000,000

□ 기술투입효과

○ 다육식물 안전배송 기술적용 및 온라인시장 확대

○ 농가생산 다육식물 온라인유통 활성화 및 소득증대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경기도농업기술원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정재홍

(031- 8008- 9540, sserai@gg.go.kr)

- 31 -

기술명

⑦ 옥수수 보급종 순도 검정 기술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고품질 옥수수 보급종 종자생산 필요

-  균일성이 높은 품종 고유의 특성 발현으로 옥수수 고유 맛 유지 

-  타 품종 꽃가루 혼입에 의한 불량 종자생산 방지 필요


□ 기술정보

○ 종자 순도검정을 위한 DNA 분석용 SSR마커

 
  
 
 
 
 
 
 
 
 

진다옥

미현찰

알찬팝

○ 주요 품종 특이 SSR 프라이머 선발 :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8종

-  미백2호, 미흑찰, 흑점2호, 오륜팝콘, 대륙2호, 진다옥, 미현찰, 알찬팝

○ 옥수수 종자 순도검사 대상농가 및 소요량 : 126농가, 5,000점

※ 강원 옥수수 채종단지 현황 : (’23), 93ha

○ 산출기초(소요예산)

품   명

단위

규 격

수량

금액 (원)

-

-

84,000,000

SSR 프라이머 제작

품종별 18- 20mer

8

4,000,000

분석시약

set

DNA extraction kit, 전기영동 장치 등

50

40,000,000

소모품

set

피펫, 팁, 초자류 등

20

10,000,000

인건비

시료 수집 및 분석 전문인력

1

30,000,000

□ 기술투입효과

○ 옥수수 보급종 순도검정으로 고품종 종자생산 및 균일성 제고

○ 품종 고유특성 보전 및 불량 종자생산 예방으로 채종농가 소득증대 기여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 옥수수연구팀 최 재 근

(033- 248- 6921, jaekeun@korea.kr)

- 32 -

추천기술명

⑧ 신시장 개척과 국산 와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지원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국산 와인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으나, 여전히 수입산이 대부분

○ 수입산 와인 대응을 위한 국산 와인의 다양화 필요

○ 수요자 맞춤형 와인 생산기술 및 홍보 지원 필요

□ 기술정보

○ 새로운 와인 시장 개척

-  저알코올 와인

-  샤인머스켓을 이용한 오렌지색 와인 등

○ 국산 와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지원

-  국내 포도 품종에 적합한 토종 효모(ES22) 등 5종

-  선발 토종 효모를 이용한 로제 및 화이트 스파클링 와인 제조 기술 

-  양조용 포도 유전자원 삽수 분양 및 교육 

-  와인 양조 계산 장치 보급: 알코올 제성 및 보당량 등 계산 앱(app) 

-  현장 컨설팅 및 와인 분석 지원 및 양조 매뉴얼 제작 및 보급 등

○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지원

-  연예인 및 국가대표 소믈리에가 함께하는 홍보

-  20, 30대가 가장 많이 찾는 주류 박람회 부스 운영

 
 
 
 
 
 

오렌지색 와인

와인

생산용 효모

와인 양조

계산 앱(app)

와인양조 매뉴얼

2023 국제주류박람회

○ 산출기초(소요예산) : 

품   명

단 위

규 격

수 량

금액 (원)

신기술 투입 등 재료비

매뉴얼, 전시물품 등

12종

50,000,000

□ 기술투입효과

○ 소비자 맞춤형 포도와인 개발로 국산 와인 점유율 및 생산액 증대

-  점유율 및 생산액: (현재) 7%, 320억원 → (‘25)20%, 600억원

○ 기술 및 홍보 지원을 통한 와이너리 및 소비자 만족도 향상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충북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품질관리팀 신혜림

(043- 220- 5872, e- mail : limi8903@korea.kr)


- 33 -

추천기술명

⑨ 이상기상 대응 및 수출 촉진을 위한 포도 안정 생산 기술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포도의 전국 재배면적은 ‘22년 14,722ha(노지 11,175, 시설 3,547)로 전체 과수재배면적 149,799ha의 9.8%를 차지하고 있음

○ 포도 품종별로 캠벨얼리(`17년 58% → `23년 29%), 샤인머스켓(`17년 4% → `23년 44%), 거봉(`17년 26% → `23년 17%)로 재배 비중이 변화함

□ 기술정보

○ 이상기상 대응 종합 포도 재배기술 

-  포도 품종별 과실특성 정보

-  포도 ‘충랑’ 생산출하 목적에 맞춘 Cytokinin계 호르몬 적정 농도

-  충북도내 포도 과원의 토양 비료사용 처방서 결과 분석에 따른 개선방안

-  충북  포도 재배농가 농가의 재배형태 및 품종별 경영사례

-  가온하우스 포도 ‘샤인머스켓’ 재배시 수세 안정화를 위한 재배초기 온도관리 방법

-  충북 간이비가림 포도재배시 5월 강우량을 고려한 갈색무늬병 방제시기 결정

-  비가림 포도원에서 8월 하순 최저기온(20℃)이상 지속기간을 고려한 나방류 방제시기 결정

-  간이비가림 포도 재배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발생생태 및 방제적기

-  포도 ‘충랑’, ‘캠벨얼리’에 발생하는 연무늬들명나방의 발생시기 및 방제적기

-  포도 ‘충랑’에 발생하는 녹병의 피해증상


○ 농가 현장 컨설팅과 포도 재배 관련 매뉴얼 제작 및 보급 

 
 
 
 

<포도 병해충 원색도감>

<재배기술 노트> 

<상품성향상기술>

<샤인머스캣 재배기술>

○ 수출 포도단지 과원관리 및 검역 대응 기술 

-  병해충 예방, 포도 저장 및 수확 후 관리 기술 등

○ 산출기초(소요예산)

품   명

단 위

규 격

수 량

금액 (원)

신기술 등 재료비

매뉴얼, 충랑 전용박스 등

10

50,000,000

□ 기술투입효과

○ 생식·양조용 품종육성 및 국내육성 품종의 재배면적 확대

-  국내육성품종 재배면적: (현재)47.6ha →  (‘25)145ha

○ 포도 전문가 현장 정밀 컨설팅으로 농가 경쟁력 제고

○ 영농기술정보를 활용한 포도 신품종 현장교육등 농가 소득 향상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충북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송명규 

(043- 220- 5821, e- mail : sinbaat@korea.kr)

- 34 -

추천기술명

차열 및 초기 급액 조절을 통한 고온기 수경재배 방울토마토 안정생산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기후변화 및 에너지비용 상승에 따라 여름 정식 토마토 면적 증가

○ 토마토 여름 정식 시 고온에 의한 작물의 생육 및 수량성 저하가 발생함에 따라 기술적인 해결방안이 요구됨

□ 기술정보

 정식 후 초기 급액 설정

-  정식 후 4주간 누적일사량 100J/cm2/1회 공급, 급액량 100ml/회, 공급온도 : 18℃

 차열망 : 가시광선 투과, 열 차단 소재 사용

-  설치 방법 : 하우스 외부 고정 및 외부 개폐

※ 시설 내 기온 하강 및 생육 활성화(배지온도 약 4℃ 감소) 


 

처리

평균누적일사량

(J/cm2)

배지의 적산온도

(℃)

무처리

1,411

2,042

차광망

688

1,943

차열망

866

1,948

* 7월 20일 ∼  9월 26일

 

<단동온실 설치>

<차광방법에 따른 누적일사량 및 적산온도>

<초기관수 증대를 통한 배지 온도 저하>


○ 산출기초(소요예산) : 단동하우스 200평 기준(외부 개폐형)

품   명

단 위

규 격

수 량

금액 (원)

5,850,000

차열망

set

700m2

(7m×100m)

1

850,000

외부 개폐 시스템

(파이프 및 자동 타이머, 개폐기 포함)

set

700m2

(7m×100m)

1

5,000,000

※ 중소형 수경재배 온실 설치 기준

□ 기술투입효과

○ 시설 내 고온 극복을 통해 방울 토마토 수확량 10% 증대

○ 고온기 토마토 착과불량 및 생산성 개선

○ 기후변화 대응 및 토마토 연중생산 가능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과채연구소 표지승 

(041- 635- 6366, pyo7@korea.kr)

추천기술명

 양송이 균상재배 수확후배지 복토 분리 자원화 기술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양송이 수확후배지의 자원화를 위해 폐상할 때 수확후배지 중에서 

복토를 분리 처리하므로서 유기질비료의 재료 등 자원화 가치 향상 

양송이 수확후배지는 식양토 등 토양이 혼합되어 있어 폐기물로 분류되어 재활용이 어렵고, 폐상된 수확후배지가 재배사 주변에 방치되고 있어 버섯 병해충 및 환경 오염원이 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수확후 배지의 자원화를 위하여 배지와 복토 분리 처리 방법 모색 


□ 기술정보

○ 양송이 균상재배 수확후배지 복토 분리 기술

① 양송이 균상재배시 복토전 균배양 단계까지 관행대로 재배한다.

② 균배양이 완료된 배지 위에 그리드망(5㎝X5㎝)을 올려 놓는다.

③ 그리드망 위로 복토재료를 3∼5㎝ 두께로 처리하여 재배한다. 

④ 수확 후 폐상할 때 배지와 복토 사이에 처리한 그리드망을 이용 

복토를 먼저 끌어내기로 복토를 분리하여 처리하고 나머지 수확후

배지는 원예용상토 및 토양개량제로 재활용 한다.

 
 
 

그리드망

배지위에 그리드망 올려놓기

그리드망 위로 복토처리


○ 산출기초(소요예산) : 

품   명

단위

규 격

수량

금액 (원)

45,000,000

배지 입·폐상기

set

양송이 균상용

(길이 5.0m, 폭1.4m)

1

16,000,000

그리드망을 끌어 당기는 윈치 장치

set

양송이 균상 폐상용 윈치 장치(5마력, 폭1.4m )

1

7,000,000

그리드망

양송이 균상용

(폭1.4m)

2

2,000,000

발효배지  

양송이 균상재배용 발효배지

20톤(165㎡/동) x 3회

60

18,000,000

복토 

양송이 재배 전용 복토

(식양토, 버섯용 피트모스 등)

30

2,000,000

□ 기술투입효과

양송이 수확후배지의 배지와 복토의 분리로 자원화 가능 

-  유기질비료의 재료로 활용 

 폐상배지 폐기 처리비용 480,000원/330㎡ 절감

재배사 주변환경 청결에 따른 병해충 피해 감소로 생산성 5% 향상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김용균

(041- 635- 6061, e- mail : kygyun@korea.kr)

기술명

저온기 수박 보온관리용 소형터널 환경제어에 의한 자동개폐 기술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저온기 수박 보온관리용 소형터널의 환경제어에 의한 자동개폐를 통하여 노동력 절감 필요

-  비닐하우스 내 소형터널 수동개폐에 의한 노동력 증가 및 개폐 소요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하우스 내 수박의 저온·고온 스트레스 증가

-  소형터널 비닐 개폐 노동력 절감 및 터널 내 안정적인 환경관리 필요


□ 기술정보

○ 환경제어에 의한 자동개폐 소형터널 

 

-  형    식: 권취식 자동개폐형

-  개폐방식: 파이프 간격을 240cm로 설치, 권취식 모터를 이용하여 PE 필름을 파이프 위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자동 개폐

-  환경제어: 내·외부 센서데이터와 설정된 시간 등에 따라 자동제어하는 복합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제어 시스템>

<권취식 모터>

<현장 제어기>

○ 산출기초(소요예산) : 비닐하우스 1동 기준

품   명

단 위

규 격

수 량

금액 (원)

27,000,000

소형터널

set

PE비닐(W1.5*100m), 파이프(25.4*1.2*10m), 개폐 모터 등

2

6,000,000

내부센서

set

온습도, 광량, 토양, CO2 센서 등

3

9,000,000

외부센서

set

온습도, 일사,

풍향풍속 센서 등

1

3,000,000

통합제어기

set

스마트팜

현장제어 프로그램 

1

9,000,000

□  기술투입효과

○ 저온기 수박 보온관리용 소형터널 개폐 노동력 절감

-  절감 효과(10동/1인): 수동) 150분 → 자동) 5(96.7%↓)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과채류연구소 수박시험장 이은영

(063- 290- 6373, e- mail : eunyoung71@korea.kr)

기술명

 동남아 수출용 참외 ‘엘리트꿀’ 품종을 이용한 선박 수출 실증 기술

기술내용

(요약)

□ 배경 및 필요성

○ 수출 항공 물류비 지원 폐지에 따라 농산물 선박 수출 필요성 증가

-  선박을 이용한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 수출확대를 통한 신시장 개척으로 수출 증가 필요.

○ 장거리 선박수출용 품종은 10일 이상의 기간동안 외관상의 품질과 연화억제 등 선도유지기술 적용이 필요함.

- 기존 참외품종은 저장성이 5일 미만이며, 선도유지기술적용을 통해 14일까지 증가시킬 수 있지만, 선박수출은 홍콩권역으로 한정됨.


□ 기술정보

○ 엘리트꿀 품종은 개별 유통온도에 관계없이 수확후 16일 이상 외관상 유지되어 장거리 선박 수출용 품종으로 유망

○ 엘리트꿀 품종의 경우 16일 이상 경도가 유지됨

○ 동남아 선박 수출시 저온으로 유통된 엘리트꿀 참외는 상온으로 유통하여도 4일 이상 품질이 유지됨 

 
 


○‘엘리트꿀’참외 품종 이용 장거리 수출 선박 실증

-  대상국가 :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  수출방법 : 선박수출(4~7월) / 국가별 1회

○ 산출기초(소요예산) : 수출실증 비용, 1국가 기준

품   명

단위

규 격

수량

금액 (원)

23,000,000

참외 구입비

박스

5만원/박스

400

20,000,000

MA 포장재

set

6mm 천공비닐

1

1,500,000

수출용 통합 박스제작

set

국산 참외 통합박스

1

1,500,000

□ 기술투입효과

○ 참외 수출확대를 통한 수출 금액 증가 및 생산액 증가 효과

-  수출량 : (’23)  453ton → (’24)  500ton → (’28) 1,000ton

-  생산액 : (’23) 6,013억 → (’24) 6,200억 → (’28) 8,000억

연구개발자

(세부기술문의)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 박나윤

(전화 : 054- 931- 6789, e- mail : konjit@korea.kr)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류정아

(전화 : 053- 320- 0231, e- mail : jaryu@korea.kr)

- 35 -

참고2

2024학년도 정부 재정지원 가능대학

※ 고등교육법 제2조 제1호, 제2호, 제4호에 따른 일반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정부 재정지원이 가능한 대학(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참여대학으로서 정부 재정지원이 제한되는 대학이 아닌 경우)

구분

학교명

일반대학 및 산업대학

(161개교)

가야대학교, 가천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꽃동네대학교, 가톨릭대학교, 강남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서대학교, 강원대학교,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글로컬), 건양대학교, 경기대학교, 경남대학교, 경동대학교, 경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경성대학교, 경운대학교, 경일대학교, 경희대학교, 계명대학교,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세종), 고신대학교, 공주대학교, 광운대학교, 광주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국민대학교, 군산대학교, 극동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김천대학교, 나사렛대학교, 남부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단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대신대학교, 대전대학교, 대진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WISE), 동덕여자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양대학교, 동의대학교, 루터대학교, 명지대학교, 목원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배재대학교, 백석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상지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서원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명대학교, 세종대학교, 세한대학교, 송원대학교, 수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순천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숭실대학교, 신라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주대학교, 안동대학교, 안양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미래), 영남대학교, 영산대학교, 예수대학교, 용인대학교, 우석대학교, 우송대학교, 울산대학교, 원광대학교, 위덕대학교, 유원대학교, 을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제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중부대학교, 중앙대학교, 중원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창신대학교, 창원대학교, 청운대학교, 청주대학교, 초당대학교, 총신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평택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동대학교, 한라대학교, 한림대학교, 한밭대학교, 한서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세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ERICA), 한일장신대학교, 협성대학교, 호남대학교, 호서대학교, 호원대학교, 홍익대학교

전문대학

(122개교)

가톨릭상지대학교, 강동대학교, 강릉영동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 거제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남해대학, 경남정보대학교, 경민대학교, 경복대학교, 경북과학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경북보건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경인여자대학교, 계명문화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광주보건대학교, 구미대학교, 국제대학교, 군산간호대학교, 군장대학교, 기독간호대학교, 김포대학교, 김해대학교, 농협대학교, 대경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대동대학교, 대림대학교, 대원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동강대학교, 동남보건대학교, 동서울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아보건대학교, 동양미래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동원대학교, 동의과학대학교, 마산대학교, 명지전문대학, 목포과학대학교, 문경대학교, 배화여자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부산경상대학교,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부천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 서영대학교,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서일대학교, 서정대학교, 선린대학교, 성운대학교, 세경대학교, 송곡대학교, 송호대학교, 수성대학교,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순천제일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신구대학교, 신성대학교, 신안산대학교, 아주자동차대학교, 안동과학대학교, 안산대학교, 여주대학교, 연성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연암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오산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우송정보대학, 울산과학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유한대학교, 인덕대학교, 인천재능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 전남과학대학교, 전남도립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전주기전대학, 전주비전대학교, 제주관광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조선간호대학교, 조선이공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청암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충남도립대학교, 충북도립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대학교, 포항대학교, 한국골프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 한국승강기대학교, 한국영상대학교, 한림성심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한영대학교, 혜전대학교, 호산대학교


* 대학명은 가나다순임

- 36 -

참고 3

사업비의 비목별 사용용도 및 계상기준

비목

사용용도 및 계상기준

인건비

(총 연구비의 50%미만)

1. 참여연구자가 해당 과제 수행에 참여하는 동안 해당 참여연구자에게 지급하는 급여(4대보험의 본인부담금을 포함한다)

2. 비영리기관의 연구부서*에 소속되어 해당 과제 수행을 지원하는 연구지원인력(이하 "연구근접지원인력"이라 한다)에게 지급하는 급여(4대보험의 본인부담금을 포함한다)

* 대학의 경우 산학협력단(산학협력단이 없는 경우 연구처 등 연구지원부서)을 제외한 연구를 직접 수행하는 단과대, 학부, 학과 및 전문연구소(센터) 등

* 출연연 등 공동연구소의 경우 연구지원전담조직을 제외한 연구를 직접 수행하는 연구실, 전문연구소(센터) 등

3. 참여연구자가 해당 과제 수행에 참여하는 동안 해당 참여연구자에 대한 4대보험의 기관부담금 및 퇴직급여충당금

4. 연구근접지원인력이 해당 과제 수행을 지원하는 동안 연구근접지원인력에 대한 4대보험의 기관부담금 및 퇴직급여충당금

5. 협약기관의 급여기준에 따른 연구개발기간 동안의 급여총액(4대 보험과 퇴직급여 충당금의 본인 및 기관 부담분 포함)을 해당 과제 참여율*에 따라 계상하되, 총연봉의 100%를 초과할 수 없음

* 해당 과제 참여율 :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등 인건비가 100퍼센트 확보되지 않은 기관의 경우 연구원의 연봉총액을 100으로 할 때 해당 과제에서 연구원에게 지급될 인건비의 비율을 말하며, 인건비가 이미 확보된 기관의 경우 실제로 해당 과제에 참여하는 정도를 말함

*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등 인건비가 100퍼센트 확보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과제에 인건비를 계상할 때에는 이미 수행중인 과제 참여율을 모두 합산한 결과 130퍼센트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계상하며, 과제 참여율의 최대한도를 이미 확보한 연구원은 연구수당 등 연동비목 계상을 목적으로 과제 참여율을 계상불가(미지급 인건비 계상 불가)

6. 정부출연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 및 전문생산기술연구소 소속 정규직원과 국가표준기본법 및 민법 또는 다른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산업기술 분야의 비영리 법인의 인건비는 정부지원분 이외의 비율범위 내에서 현금으로 계상한다.

7. 대학, 국립·공립연구기관 소속 연구원 등 원 소속기관으로부터 지급받는 인건비에 해당하는 부분은 미지급 인건비로 계상하되, 현금으로 지급하지 않는다. 다만, 원 소속기관으로부터 인건비를 100% 지원 받지 못하는 참여연구원의 경우 지원받지 못한 금액에 대해서만 현금으로 계상할 수 있다.

학생인건비

1. 학생연구자에게 지급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인건비(학생연구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 4대보험의 본인부담금을 포함한다)

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협약기관(이하 "대학등"이라 한다)이 학생연구자에게 지급하는 인건비

1) 고등교육법 제2조의 대학

2)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시행령」 제3조제1호부터 제3호까지 및 제3호의2에 따른 연구기관

3)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33조제1항에 따른 대학원대학과 대학원대학을 설립할 수 있는 연구기관 및 같은 조 제3항에 따른 공동협약기관

나.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이 대학등 또는 외국대학과 계약을 체결하여 운영하는 학ㆍ연 협동과정을 통하여 과제에 참여하는 학생연구자 또는 외국대학 소속의 학생 신분의 연구자에게 지급하는 인건비

1)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정부출연연구기관

2)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3)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시행령」 제3조제4호부터 11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연구기관

다. 나목1)부터 3)까지에 해당하는 협약기관에서 실시하는 6개월 이상의 연수프로그램을 통하여 과제에 참여하는 학생연구자에게 지급하는 인건비

2. 제1호에 따른 학생인건비를 지급받는 학생연구자에 대한 4대보험의 기관부담금 및 퇴직급여충당금(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인건비 세부산정 기준>

구  분

세부 산정기준

정부출연

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연봉제 적용기관

▪연봉총액/12 × 참여기간 × 참여율

연봉제 비적용기관

▪정부인정 12개 항목/12 × 참여기간 × 참여율

-  기본급여(기본급, 상여금)

-  정액급(기본사업활동비, 능률제고수당기본급)

-  복리후생비(가족수당, 중식보조비, 자가운전보조비)

-  법적부담금(퇴직급여충당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중소기업, 대학 등

▪소속기관 규정에 따른 실지급액/12 × 참여기간 × 참여율

※ 근무년수가 1년 미만인 자 등 전년도 연말 정산기준 급여총액을 알 수 없는 정규직원의 인건비는 「월 평균급여액 × 참여기간 × 참여율」로 산정하여 적용

※ 4대 보험과 퇴직급여충담금의 본인 및 기관 부담금 포함해서 산정가능

인건비

현금계상

기준

계상비율

인력구분

현금계상 기준

사업비의 50% 이내

교수 등

계상불가

연구자

해당인력 인건비의 100%까지

* 원 소속기관 미지원 인건비부분

운영

경비

사무관리비

1. 과제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무용 기기 및 사무용 소프트웨어의 구입ㆍ설치ㆍ임차ㆍ사용대차 비용, 사무용품비, 연구실 운영에 필요한 소모성 비용 또는 연구실 냉난방 및 청결한 환경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기기ㆍ비품의 구입ㆍ유지 비용으로 계상할 수 있다. 

가. 기관의 장은 연구실운영비(연구실 운영에 필요한 소모성 비용 또는 연구실 냉난방 및 청결한 환경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기기・비품의 구입・유지 비용을 말함)를 사용할 때에 협약기관 자체규정에 구체적으로 사용기준 등을 마련하여 사용하여야 함

나. 연구실 운영에 필요한 소모성 비용은 사업비 중 다른 사용용도에 계상할 수 없는 비용으로 과제 수행 시 연구실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말함. 다만,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하여는 연구실 운영에 필요한 소모성 비용을 계상 및 사용할 수 없음

1) 주류 등 유흥성 비용

2) 인건비성 비용

3) 별도의 수당 지급을 위한 비용

4) 과태료, 벌금, 단순실수나 부주의로 인한 취소수수료

회의비

1. 회의장 임차료, 속기료, 통역료 또는 회의비 등 과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회의ㆍ세미나 개최 비용

가. 해당 협약기관*에 소속된 자**만 참여하는 회의에 대하여는 회의비 중 식비(다과비 포함)를 계상할 수 없음. 다만, 정부출연기관의 기본사업에 대해서는 계상할 수 있음

* 해당 협약기관에는 동일법인 내에 속한 사업장을 포함

** 참여연구자가 별도로 구분된 법인에 소속되어있더라도 과제를 수행하는 협약기관에 겸직인 경우를 포함함

※ 소속기관이 상이한 참여연구자이더라도 사실상 동일 협약기관에 소속된 것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소속기관이 상이한 참여연구자가 참여하는 회의에서 회의비 중 식비 사용을 지양하여야 함

나. 회의비를 사용할 때에는 내부결재문서 또는 회의록 중 어느 하나와 영수증서를 갖추어야 함. 다만, 10만 원(부가가치세 포함) 이하의 회의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의의 목적, 일시, 장소, 내용, 참석자 명단이 기재된 증명자료*로 내부결재문서 또는 회의록을 대신할 수 있음

※ 내부결재문서 및 회의록에도 회의의 목적, 일시, 장소, 내용, 참석자 명단이 포함되어야 함

국내여비

1. 출장비: 과제 수행을 위한 국내외 출장 비용

가. 참여연구자・연구근접지원인력이 공무원인 경우의 출장비는 「공무원 여비 규정」에 따라 계상하고, 공무원이 아닌 경우에는 협약기관의 자체규정에 따라 계상함

나. 출장지 관계기관에서 식대 또는 식사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출장비에서 해당 금액을 차감하고 계상함

다. 국외 출장비는 출장계획서 및 출장결과보고서를 갖추어야 함

회계정산비

1. 사업비 집행 외부회계감사에 대한 비용(1,500천원 내외)

가. 회계감사기관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선정

신기술확산

활성화

지급수수료

1. 외부 전문기술 활용비(국외에 소재한 기관 또는 외국인의 전문기술 활용을 위하여 지급하는 비용을 포함한다) : 기술도입비, 전문가 활용비(원고료, 강사료, 자문료 등을 포함한다), 연구개발서비스 활용비 등 외부 전문기술 활용을 위하여 필요한 비용

가. 전문가활용비 : 협약기관의 자체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자체규정에 따라 계상하고, 자체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실제 필요한 금액으로 계상함

나. 연구개발서비스 활용비 : 협약기관의 자체규정에 따라 해당 연구개발서비스를 활용하는데 실제 필요한 비용을 계상

* 외부 전문기술 활용비(현물 포함)를 다음 사용기준에 따라 직접비(현물 포함) 협약금액의 40퍼센트 범위 내에서 사용함. 다만,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경우에는 직접비 협약금액의 40퍼센트를 초과하여 사용할 수 있음

※ 정부출연기관 기본사업에서 외부 전문기술 활용비를 직접비의 40퍼센트를 초과하여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승인을 받는 것으로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인정을 갈음할 수 있음

지식재산권

1. 지식재산권의 출원 등에 관한 제반비용

홍보비

1. 현장시연회, 농가홍보 등 홍보활동에 투입되는 비용

2. 농가보급 확산을 위한 홍보물 제작 비용 등

3. 전시회 및 박람회 참가비(체류비, 교통비 제외)

재료비

1. 자산성 시설·장비의 구매는 불가

2. 재료 구입비: 시약ㆍ재료 구입비 및 관련 부대비용

3. 과제 관리비: 과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관리시스템 등의 운영비

4. 연구재료 제작비: 시험제품ㆍ시험설비 제작(자체제작과 외부제작을 모두 포함한다)비용

5. 협약기관의 장은 협약기관이 보유 또는 생산하여 자산으로 등록하는 시험제품・시험설비에 대하여는 자산등록가로 계상하여야 함 

6. 재료비는 과제(과제가 단계로 구분된 경우에는 해당 단계를 말함)의 종료일까지 구매(검수완료)할 수 있음

7. 과제 관리비는 해당 과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산처리 및 관리비*로 실소요금액으로 현금 계상하되, 기관전체 전산처리 및 관리비는 계상할 수 없음

* 과제내용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으며, 독립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는 홈페이지 구축 및 관리비, 온라인 협력 플랫폼 운영비 등

8. 시험제품・시험설비를 자체제작 할 경우 참여연구자 이외의 인력에 대한 노무비를 계상할 수 있음

과제

수당

1. 과제수당은 총 인건비(미지급인건비 포함)의 20% 이내에서 계상가능, 과제수당 지급 시 자체 규정을 마련하여 지급하여함. 또한 한명의 연구자에게 70%이상 지급은 불가하며, 참여연구자가 1명인 경우는 제외됨

2. 과제수당 지급 비율이 직접비 사용비율의 20%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비율 만큼에 해당하는 과제수당은 정산 시 회수됨

간접비

대학의 간접비는 고시율과 관계없이 최대 10%까지 계상가능


- 37 -

참고 4

설정 목표지표

* 박스표시 대표지표

성과지표

지표 성격

목표

지표설명

투입

사업집행도

선택

80%

세부사업 계획대비 집행한 실적

과정

교육‧현장지원,

평가회 개최실적

선택

10건 이상

대학이 농업인(국민)에 대해 전문교육
또는 기술지원한 실

*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LMS시스템을 통한
실적 관리(필요시)

협업실적

선택

2건 이상

사업계획과 연계하여 지방농촌진흥기관 및 농업분야 기관(연구회 등) 등과 협업한 실적

산출

홍보성과

선택

3건 이상

추진성과 홍보실적(중앙지, 일간지, 전문지 등)

기술수준 향상실적

필수

3.5점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신기술 보급 후 기술수준이 향상한 실적(참여농가 만족도 조사 후 평균)

결과

자체확산 제안(반영)실적

선택

1건

대학에서 추진한 사업을 지자체사업 등으로 반영 또는 자체 보급한 실적

신기술 기술활용률

필수

20%

이상

활용기술* / 활용대상기술 × 100

* 기술이전 건, 전략적 활용활동** 기술

시범농가 

비용절감률

선택

10%

근농가 경영비(천원/10a) -  시범농가 경영비(천원/10a) / 인근농가 경영비×100

기술창업 실적

선택

2명

신기술을 반영하여 신규 창업한 인원

- 38 -


<전략적 활용활동>

전략적 활용활동 기준

기준 별 증빙

패밀리 특허

국내 특허 외 국내 포함 3개국 출원 등록

IP 포트폴리오

특정 기술분야, 기능, 부품, 제품, 서비스 등과 관련된 기술을 모아 개별기술을 군집화 했는가


<5개 과정을 통해 구축>

1. 기관 보유기술 스캐닝 (보유기술 자사실시)

2. 포트폴리오의 목적과 분류기준 선정

3. 심층분석

4. 관련특허 선별 및 포트폴리오 구축

5. 포트폴리오 발전계획 수립 및 당해연도 집행

내부 특허기술 마케팅

1. SMK 작성

2. 기술이전설명회, 박람회, 수요기업 직접접촉

3. 기업 추가자료 피드백

외부특허기술 마케팅

1. 마케팅 전문기관과의 협약서 또는 계약서

2. 마케팅 전문기관이 작성한 1차 마케팅 보고서가
제출된 경우

분사 추진

사(Spin- off) 추진을 위한 시장 분석, 이전 또는 출자기술의 가치 평가분석 보고서 등이 존재 시

소송·침해 분석

1. 침해여부 분석보고서(보고서 작성은 자체적 또는 전문기관 무관) 

2. 침해소송여부 결정에 관한 내부 결재서류 

3. 소송전문기관에 소송 등을 위탁 의뢰한 경우

사업화 목적 투자

1. 사업화를 위한 추가R&D 프로그램 자체가 명시되어야 함 2. 프로그램에 의한 내부적 연구 계약서 
3. 특정 정부 프로그램 수행과 관련된 계약서 
4. 결과로서 특허가 출원되어야 함

- 39 -

참고5

2024년도 공고과제 평가기준

분야

평가기준

경제성

○ 농가소득 증대 기여도 등 경제성

-  농업생산성 및 소득증대 효과, 경영비용 절감 등

보급

타당성

○ 해당 신기술의 농업현장 필요성

-  농업생산성 향상 등 신기술의 유발효과

보급

역량

○ 대학의 관련 과제 수행 경험

-  신기술 관련 과제수행이력 등

-  농가확보 방안

○ 현장실증지의 적정성

-  대학 내 활용가능 부지여부, 별도 협조 대상지 여부 등

기술성

○ 기술의 독창성

-  기술의 현장적용성, 현장 문제해결 등

○ 시범사업 계획의 타당성

-  지원내역, 소요예산 및 규모, 산출내역 타당성

○ 기술요인의 적합성, 창의성, 타당성

-  기술요인 출처, 기존 기술과 차별성 등

-  기술요소 반영도가 높은 과제 여부 등

농가

활용성

○ 과제 수행결과물의 현장 적용가능성

-  농업인의 활용 가능성

-  관련 분야의 필요도 등

○ 현장 활용도 및 적절성

-  기술의 활용 계획, 영농활동 연계성

○ 정책사업 등 성과확산 가능성

-  파급효과, 국정과제 및 농정 연계 여부 등

○ 제도적 기반 및 민원발생 가능성

-  특정업체‧기종위주 과제설계 여부

-  관련 법률의 제도적 기반 마련 여부

-  현장보급시 민원발생 소지 여부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