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손제식 L & T |
1. 차려자세
• 목적 :“차려”자세는 군인의 기본자세이다. 그러므로 안으로는 군인정신이 충일
하고 밖으로는 항상 엄숙 단정하여야 한다.
• 구령 : “차렷”
• 요령 :“차려”자세를 취할 때에는 담화를 한다거나 과도한 긴장을 해서는 안된다.
“차려”자세의 동작을 하체에서 상체로 옮겨가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양발 뒤꿈치를 동일 선상에 붙여놓고 발의 내각은 45°를 유지한다.
(2) 양다리를 곧게 펴고 무릎을 붙인다.
(3) 엉덩이의 양쪽은 균등히 힘을 주고 앞으로 끌어당기는 자세를 취한다.
(4) 아랫배는 몸쪽으로 글어당기는 듯 힘을 준다.
(5) 가슴은 펴고 어깨는 자연스럽게 내린다.
(6) 양팔은 곧게 펴 몸의 측면에 붙인다.
(7) 주먹은 엄지손가락으로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감싸쥐고 엄지 손가락 끝은
하의 표면의 봉합선에 붙인다.
“차려” 자세
(8) 몸과 머리는 정면을 향하여 곧게 세우고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9) 어금니를 다물고 턱은 바싹 당기며 고개를 뒤로 제치는 기분을 유지한다.
(10) 눈은 눈 높이로부터 정면 위로 15°를 주시하여 크게 뜨고 눈동자를 움직여서는 안된다.
• 유의사항
(1) 지나친 긴장으로 몸이 경직되지 않도록 하며 내적인 자신감과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2) 부동자세로써 담화할 수 없고, 장시간 실시하지 않도록 한다.
(3) 방독면 휴대시 “옆으로 메어” 자세에서는 왼손으로 방독면 좌전방 하단 모서리
부분을 감싸쥔다.
(4) 대검 휴대시 왼주먹은 대검위에 붙인다.
1
2. 열중쉬어
• 목적 : 구성단위가 대형을 갖춘 상태에서“차려”자세로 장시간 유지시 피로
누적을 방지하고 긴장을 완화시키는데 있다.
• 구령 :“열중 쉬어”
• 요령
(1) 왼발을 왼쪽으로 반듯하게 벌려 양발뒤꿈치의 내측선이 30cm되게 한다.
(2) 다리는 곧게 펴고 체중(體重)은 양다리에 균등하게 둔다.
(3) 두손은 자연스럽게 펴서 등뒤로 보내고, 손등을 허리띠 부분에 붙이며,
오른손등을 왼손바닥 위에 놓고 양쪽 엄지손가락을 교차시킨다.
(4) 양팔꿈치를 뒤로하여 등과 평행이 되게 하며, 가슴을 펴고 계속 침묵과
부동을 유지한다.
• 유의사항
(1)“열중쉬어” 구령은 “차려” 자세에서만 실시 할 수 있다.
(2) 부동자세의 연속으로 일체의 움직이거나 담화를 할 수 없다.
(3) 방독면 착용시는 왼손은 방독면을 그대로 파지하고 오른손만 등뒤로 하여
허리띠에 붙인다.
“열중쉬어”, “쉬어” 자세
2
3. 거수 경례
• 목적 : 경례는 국가권위에 대한 충성심의 표시이며, 상관에 대한 자발적인
복종심과 부하에 대한 자애심의 발로인 동시에 상‧하 상호간 그 직책과 직위에
대한 인식이며, 엄숙한 군기의 겉으로 드러난 상징이다.
그러므로 경례는 항상 엄숙 단정하게 실시하여야 한다.
• 구령 :“(○○에 대하여) 경례”
• 요 령
(1) 한동작으로 오른손을 최단거리로 절도있게 올려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
사이를 오른쪽 눈섭의 오른쪽 끝부분에 붙인다. 단, 착모 및 안경착용시 오른손
손가락 위치는 탈모시 손 위치의 전방 방향 연장선(앞창의 오른쪽 모서리
및 안경 우상단 끝부분) 에 붙인다.
(2) 상박은 가슴 오른쪽 앞으로 내밀어 정면을 향하여 60°가 되게 한다.
(3) 좌‧우측 어깨는 수평을 유지하고 손등과 하박은 일직선이 되게 한다.
(4) 손가락은 모두 합쳐서 곧게 펴고 손등과 손바닥이 수례자에게 보일듯 말듯하게
유지한다.
(5) 눈은 수례자의 눈을 향하여야 한다. 단, 2인 이상의 단체경례시에는 각자의
정면을 향하도록 한다.
(6) 구호는 손을 올리며 구호를 힘차게 붙인다.
• 거수경례의 바로
(1) 구령 :“바로”또는“세워총”(집총을 하고 의식을 할 경우)
(2) 요 령
“바로”라는 구령에 오른손을 떼어 최단거리를 이용하여 절도 있게“차려”
자세로 복귀한다.
“거수경례” 자세
3
4. 정지간 방향전환
가. (우(좌) 방향전환)
• 구 령 :“우(좌)향 우(좌)”
• 요 령
(1) 제1동작으로 오른(왼)발 뒤꿈치와 왼(오른)발 앞꿈치를 축으로 하여 오른(왼)쪽
으로 90°돈다.
(2) 몸의 중심을 오른(왼)발에 두고 왼(오른)다리는 곧게 유지한다.
(3) 제2동작으로 뒷발을 가장 가까운 거리를 따라 절도 있게 앞발에 가져와“차려”
자세를 취한다.
|
|
“좌향좌” 자세
나. 뒤로 돌기
• 구 령 : “뒤로 돌아”
• 요 령
(1) 제1동작으로 오른발 끝을 왼발 뒤꿈치 좌후방으로 뒤로 발의 반 족장 만큼
뒤로 내딛은 다음 체중을 왼발 뒤꿈치에 두고 약간 뒤로 몸을 기울인다.
(2) 제2동작에 왼발 뒤꿈치와 오른발 끝을 축으로 하여 아랫배에 힘을 주어 힘차게
오른쪽으로 180°회전한 다음 양발 뒤꿈치를 밀착시켜 “차려”자세를 취한다.
|
|
|
그림 2 - 5 “뒤로돌아” 자세
4
• 유의사항
(1) 방향전환시 무릎을 굽히지 말아야 한다.
(2) 방향전환시 팔이 몸에서 떨어져서는 안된다.
(3) 전환하는 순간 머리를 숙인다든가 상체를 흔들지 말아야 한다.
(4) 방향전환이 완료되면 “차려”자세로 복귀한다.
5. 행진간 방향전환
가. 우(좌)향 앞으로 가
• 구 령 : “우(좌)향 앞으로 가
• 요 령
(1)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의 발에 예령과 동령을 내린다. “가”라는 동령에
왼(오른)발을 반보 더 내디딘다
(2) 내디딘 발끝을 축으로 90°오른(왼)쪽으로 돌아 몸의 방향을 바꿈과 동시에
오른(왼)발부터 내딛고 바른걸음 제 1보와 동일한 요령으로 행진한다.
(3) 이때 오른(왼)발이 지면에 끌리지 않아야 한다.
|
|
|
|
행진간에 좌향앞으로 가
5
나. 걸음변경
• 사용시기 : 걸음변경은 단위부대의 발을 맞추기 위해 걸음을 바꿀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앞사람 또는 부대, 옆 사람 또는 부대와의 보조가
틀린 경우에 사용된다.
• 구 령 :“걸음바꿔 가”
• 요 령
(1)“걸음바꿔 가”의 구령은 좌‧우 어느 발에 내려도 무방하다.
(2)“가”라는 동령이 오른(왼)발에 내렸으면 왼(오른)발을 1보 더 내딛고
오른(왼)발 끝을 왼(오른)발꿈치 뒤에 놓고 체중을 오른(왼)발에
옮기면서 곧 왼(오른)발을 다시 약간 앞으로 옮기어 체중을 이동시킨다.
(3) 이 동작에 뒤이어 오른(왼)발부터 바른걸음 보조로 계속 전진한다.
(4) 이상의 동작은 1호간에 실시하여야 한다.
• 유의사항
(1) 몸이 상‧하로 많이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2) 걸음 변경하는 순간 양팔이 몸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
|
|
걸음변경
6
집총각개 행동화 |
1. 세워총
• 집총시 최초로 취하는 자세로서 먼저“차려”자세에서 오른손으로 가늠쇠
뭉치를 잡고 탄알집 홈이 전방을 향하도록 총을 수직으로 세운다.
• 개머리판 앞 끝을 오른발 새끼발가락 끝과 일치시킨다.
• 오른팔은 손가락을 모아 펴서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이“ㄷ"자 형이
되도록 총열과 가늠쇠 뭉치부분을 가볍게 잡는다.
“세워총”자세
• 오른 팔꿈치는 허리부분에 붙이고 엄지손가락은 다리에 밀착시키며 자연스럽게
팔을 약간 굽혀도 무방하다. 이때 개인의 신장에 따라 어깨가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 앞에 총, 허리에 총 ???
• “앞에총”은 집총제식시 차후 동작을 위한 자세이고, 경계근무시 기본 총기
휴대자세이다.
• 세워총에서 앞에총
(1) 구 령 : “앞에 총”
(2) 요 령
(가) 제1동작에 오른손은 가늠쇠 뭉치를 감싸쥐고 하박은 몸과 대각선이 되도록
비껴 올리면서 왼손으로 소총덮개의 아랫부분을 감싸 잡고 가늠쇠울이 왼쪽
눈앞에 위치하도록 소총을 들어올린다.
(나) 제 2동작에 오른손을 놓은 후 총목을 잡으며, 양쪽 겨드랑이는 붙인다.
(다) 이때 총과 몸은 10cm 정도 떨어져야 하며, 총은 몸과 대각선이
되도록 하되 개머리판이 오른쪽 허벅다리, 소염기 끝부분은 왼쪽어깨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7
“세워총”에서 “앞에총” 자세
3. 우로어깨 총
4. 좌로어깨 총
5. 멜빵조정(멜빵 늘이기, 줄이기)
6. 우로(좌로) 어깨걸어 총
7. 비껴걸어 총
8. 좌(우) 삐껴들어 총
9. 우(좌) 내려 총
10. 총기휴대시 경례(세워총, 앞에총, 비껴걸어 총 자세에서 경례)
11. 총기휴대시 거수경례
12. 꽂아 칼, 빼어 칼
13. 걸어 총, 풀어 총
14. 16개동작 우로어깨총
집총 각개훈련이 숙달된 후 는 “16개 동작 우로어깨총”과 같은
연속 소총 다루기를 실시할 수 있다.
• 구 령 : “집총 16개동작 우로어깨 총”
• 16개 동작순서
“세워총” - “우로어깨총” - “좌로어깨총” - “앞에총” - “받들어총” “세워총” - “열중쉬어” - “차려” |
8
국군도수체조 |
1. 요망수준(실습식평가)
○ 도수체조를 순서별로 숙지하여야 한다. ○ 단계별 준수사항을 알아야 하며 소대원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
2. 숙지 내용
• 국군도수체조 순서
1번) 다리운동 2번) 팔운동 3번) 목운동 4번) 가슴운동
5번) 옆구리운동 6번) 등배운동 7번) 몸통운동 8번) 팔다리운동
9번) 온몸운동 10번) 뜀뛰기운동 11번) 팔다리운동
12번) 쉼쉬기운동
• 기본요령
1) 힘의 배분을 고르게 한다.
2) 각 관절과 근육의 힘을 풀어 준다.
3) 동작과 호흡이 일치되도록 한다.
4) 탄력성과 유연성 있게 한다.
5) 동작은 크고 정확하게 한다.
• 유의할 동작
1) 손동작
가) 주먹을 쥘 경우 : 네 손가락을 계란 쥐듯 말아주고 엄지손가락은 인지와 중지
첫마디 위에 올려 놓는다. (정권을 쥐거나 과도하게 꽉 쥐지 않는다.)
나) 손을 펼 경우 : 네 손가락을 붙여서 곧게 펴고 엄지손가락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인지 옆에 붙인다. (손가락을 벌리지 않도록 한다.)
다) 무릎을 밀 경우 : 양손의 손가락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무릎에 대고 뒤로 밈.
(양손의 손가락 방향이 안쪽 및 바깥쪽으로 향하지 않도록 한다.)
라) 무릎을 굽힐 경우 : 양손의 손가락을 서로 마주보게 대고 쪼그려 앉는다.
(무릎을 벌리거나 양손의 손가락이 아래로 향하면 안된다.)
마) 허리 좌우측에 댈 경우 : 네 손가락을 붙여서 곧게 펴고 엄지손가락을 벌려서
허리에 댄다.(손가락을 아래 방향이나 손등이 등방향으로 향하지 않도록 한다.)
9
바) 옆구리에 댈 경우 : 손가락을 곧게 펴서 아래방향으로 허리에 댄다. (손가락이
앞으로 향하거나 주먹을 쥐고 허리에 대지 않도록 한다.)
사) 허리 뒤에 댈 경우 : 손가락을 곧게 펴서 아래로 향하도록하고 손바닥은
허리에 댄다. (손가락 방향이 앞을 향하거나 등에서 마주보지 않도록 한다.)
아) 허리에 주먹을 댈 경우 : 주먹의 엄지와 인지의 측면을 허리에 댄다.
(정권 앞부분이 허리에 대거나 편손의 손가락이 앞을 향하지 않도록 한다.)
2) 팔동작
가) 앞으로 들어 올릴 경우 : 팔을 올릴 경우 어깨 높이와 수평이 되도록 한다.
(팔의 높이가 어깨보다 높거나 낮아지지 않도록 한다.)
나) 옆으로 들어 올릴 경우 : 양팔과 어깨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양팔이 수평이 되지 않고 어깨 높이보다 높거나 낮아지지 않도록 한다.)
다) 위로 들어 올릴 경우 : 이두근이 귀에 밀착되도록 위로 곧게 편다.
(양팔이 벌어지거나 좁아지지 않도록 한다.)
라) 위아래로 엇걸 경우 : 위로 엇걸 경우는 오른손이 앞으로 오게 하고,
아래로 엇걸 경우에는 왼손이 앞으로 오게 한다.
마) 아래로 뻗어 내릴 경우 : 팔을 45도 각도로 최대한 앞으로 뻗으면서 지면
10cm까지 내린다. (최대한 뻗지 않고 발끝방향으로 바로 내려오지 않도록 한다.)
바) 발을 벌려 엇걸 경우 : 뜀뛰기 첫 번째 “여덟”동작에 차려자세를 취하고
두 번째 “여덟”동작은 팔을 엇걸며 선다.
3) 다리동작
가) 앞으로 내 딛일 경우 : 어깨너비의 약 1.5배 정도를 내 딛는다.
(과도하게 앞으로 내 딛지 않도록 한다.)
앞 정면으로 내 딛어야 한다. (발을 내 딛을 때 옆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나) 다리를 들어 올릴 경우 : 대퇴부는 수평으로 들고 무릎과 발끝이 대각선을
유지하도록 한다.(발 끝을 위로 올리거나 올린 다리의 내각이 좁아지면 안된다.)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