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작성요령 |
1. 논문제목 및 저자명 표기방법
1) 제목
- 원고의 제목은 간결하며 논리적으로 작성하여 원고의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영문제목은 15단어 이내로 함을 원칙으로 하며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기입한다.
2) 저자명 및 소속 등 인적사항
- 저자의 이름, 소속, 직위(또는 학위 등), 이메일주소를 한글 및 영문으로 정확하게 기재하고 다수 저자인 경우에는 제1저자, 교신저자를 명시한다.
- 영문 저자명의 표기는 로마자표기법에 준해 <예시>와 같이 작성한다. 다만, 한국연구자정보에 등록된 영문 저자명과 표기가 다를 경우에는 수정할 수 있다.
<예시> 홍길동 Hong Gildong
3) 사사표기
-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논문의 경우에는 그 내용을 기록한다.
- 학위 논문 및 연구보고서 기초로 수정·보완하여 투고하는 경우 그 출처를 반드시 표기한다.
예시1) 학위논문의 경우: 본 논문은 홍길동(2016)의 OO학위 논문 “OOO”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예시2) 보고서의 경우: 본 논문은 ‘홍길동. 2016. OOO. 발행도시: 발행처’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되었음.
2. 본문 작성방법
1) 번호체계
- 본문의 번호 전개는 다음과 같이 한다.
예) 장 번호: Ⅰ. 절 번호: 1. 항 번호: 1) 목 번호: (1)
2) 한자 및 외래어 사용
- 국문논문의 경우 국문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할 경우 한자 및 외래어는 괄호 안에 병기한다.
- 1 -
3) 유의사항
- 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본문내용에는 원저자나 소속기관을 나타내는 표식이 있어서는 안 된다.
- 본문에 언급한 인용문은 반드시 참고문헌에 포함시킨다.
- 본문의 인용표기는 내주형이며, 보충내용은 각주형을 사용한다.
3. 표, 그림 작성방법
1) 표, 그림은 제목과 내용을 모두 영문으로 표기한다.
2) 표, 그림은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Table 1 _ 제목, Figure 1 _ 제목과 같이 “일련번호” 체제로 표시하며, 표와 그림에 대한 주석은 “Note:”, 출처는 “Source:”를 붙여 작성한다.
3)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단, 관사, 전치사, 접속사와 단위는 소문자로 기재한다.
4) 표, 그림은 본문에서 “Table 1” “Figure 1” 혹은 “<Table 1> 참조” “<Figure 1> 참조” 등으로 1회 이상 언급되어야 한다.
4. 초록 작성방법
1) 국문과 영문의 원고에 상관없이 초록은 국문, 영문 모두 작성한다.
2) 영문초록은 논문의 첫 페이지, 국문초록은 마지막 페이지에 배치한다.
3) 초록 내용은 원고의 전체 사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하며 영문초록은 150단어(200자 원고지 3장) 내외, 국문초록은 500자(200자 원고지 2.5장) 내외로 작성하되, 분량을 준수하도록 한다. 약어는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 2 -
5. 참고문헌 작성방법
참고문헌 배열순서
∙ 국내서- 동양서- 서양서, 원어- 영문의 순으로 정리하며 항목 앞에는 일련번호를 표기한다.
1. 강정희. 2010. 저소득층의 주거실태와 주거안정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수급가구와 차상위가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권, 2호: 249- 274. Kang Junghee. 2010. A study on housing status and stability of the low income group.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 no.2: 249- 274. 2. 곽인석, 김순미. 1999. 임차가구의 주거비용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32권: 127- 144. Kwak Insook and Kim Sonnmi. 1999. A study on the total housing cost of households living in rental hou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housing mainten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32: 127- 144. 3. 김진영. 2013. 여성 1인가구 소형임대주택계획을 위한 주거의식과 주거요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4권, 4호: 109- 120. Kim Jinyoung. Housing consciousness and needs of single woman household for the small- sized rental housing development: Focused on the residents of Seoul, Incheon, and Gyeonggi.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 no.4: 109- 120. 4. 송향숙, 한연호, 박태호. 2011. 여성친화형 공동주택 계획지표 연구. 도시정책연구 2호: 35- 48. Song Hyangsuk, Han Yeonoh and Park Taewon. 2011. Selection on planning criteria of women- friendly housing complex. Journal of Urban Policies 2: 35- 48. 5. 佐藤貢一, 八島信良, 中西三化, 安達 洋. 2013. 氷盤と固定式海洋構造物の動的相互作用に関する研究. 日本建築学会構造系論文集 78卷, 688号: 1185- 1193. Sato Kouichi, Yashima Nobuyoshi, Nakanishi Mitsukazu and Adachi Hiromi. 2013. Study on dynamic interaction between ice- floes and fixed offshore structures: Dynamic behavior of offshore structures by collision of ice floe. Journal of Structura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78, no.688: 1185- 1193. 6. Goodman, A. C. and Kawai Masahiro. 1982. Permanent income, hedonic prices, and demand for housing: New evidence. Journal of Urban Economics 12, no.2: 214- 237. 7. Gujarati, D. M. and Porterm, D. C. 2009. Basic Econometrics. Singapole: McGraw Hill. 8. Kreft, Ita G. G., Leeuw, J. D. and Aiken, L. S. 1995. The effect of different forms of centering in hierachical linear model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0: 1- 21. |
- 3 -
∙ 동일인의 2개 이상의 저작이 발행연도가 동일할 때는 논문명의 문자순으로 배열한다. 동일인의 저서는 단일 저작을 먼저 배열하고 공저서는 그다음에 배열한다.
∙ 동일인의 저작 중 나중의 저작은 밑줄로 표기한다.
1. 성현곤. 2012a. 주거환경과 통행행태 선호요인이 도시형생활주택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7권, 2호: 145- 158. Sung Hyungun. 2012a. A study on impacts of the preference factor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ravel behavior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urban- living housing.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 no.2: 145- 158. 2. . 2012b. 주거입지선택에서의 대중교통 접근성과 직주균형의 구조적 관계가 가구수준의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7권, 4호: 265- 282. . 2012b. Impact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or transit accessibility and jobs- housing balance in residential location choice on travel behavior at the household level.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 no.4: 265- 282. 3. 성현곤, 천상현. 2014. 수도권 역세권 토지이용패턴과 철도이용 수요와의 연관성. 국토연구 81권: 121- 131. Sung Hyungun and Cheon Sanghyun. 2014.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Pattern of Railway Station Areas and Transit Ridership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81: 121- 131. |
∙ 동일인의 2개 이상의 저작은 발행연도가 오래된 순으로 배열한다.
1. 김동한. 2012. 메트로나미카 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지역의 도시성장 시뮬레이션. 국토연구 75권: 3- 17. Kim Donghan. 2012. Simulation urban growth with the metronamica model: A Case study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5: 3- 17. 2. . 2015. 계획지원을 위한 공간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수도권 지역의 건물 에너지데이터를 대상으로. 국토연구 87권: 163- 178. . 2015. The use of spatial big data for planning support: Case of building- energy data for Seoul metropolitan a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8: 163- 178. |
∙ 번역서의 영어인명은 표기법상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번역된 한국어로 기재하지 않고 영어명으로 표기한다.
Karz, B. and Jeniffer, B. 2013. 메트로폴리탄 혁명: 도시와 메트로폴리탄 지역이 미국의 잘못된 정치와 허약한 경제를 치유하는 방법. 이왕건, 황성남 역. 안양: 국토연구원. Karz, B. and Jeniffer, B. 2013. (The) Metropolitan Revolution: How Cities and Metros Are Fixing Our Broken Politics and Fragile Economy. trans. Lee Wanggeun and Hwang Seongnam.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 4 -
∙ 서양서는 저자의 성을 알파벳순으로 열거한다. 저자명은 성, 이름으로 표기한다. 1인 단독 저서에만 Family name과 First name을 모두 적고, 2인 이상이면 약자로 표기한다. 마지막 저자 앞에는 and를 붙인다. 동일 저자의 같은 연도 저서인 경우 저서명(또는 논문명)의 문자순으로 배열하는데, 이때 The, An, A 등의 관사를 제외한 그다음 단어를 기준으로 한다.
Anselin, Luc. 1988. Spatial Econometrics: Methods and Models.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Canning, D. and Bennathan, E. 2000. The Social Rate of Return on Infrastructure Investments. Washington D.C.: World Bank.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2390. Flood, R. and Hodrick, R. 1990. On testing for speculative bubbles. Th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4, no.2: 85- 101. Fujita, M. and Thisse, J. T. 2009. New economic geography: An appraisal on the occasion of Paul Krugman’s 2008 Nobel Prize in economic sciences.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39, no.2: 109- 119. Halás, M., Klapka, P. and Kladivo, P. 2014. Distance- decay functions for daily travel- to- work flow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5: 107- 119. Handy, S. L. and Niemeier, D. A. 1997. Measuring accessibility: An exploration of issues and alternativ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29, no.7: 1175- 1194. Johnson, Mark A. 2010. Studying How Changes in Consumer Sentiment Impact the Stock Markets and the Housing Markets. Ph.D. diss., University of New Orleans. Kahneman, D. and Tversky, A. 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 no.2: 263- 292. . 1992. Advances in prospect theor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297- 323. Melo, P. C., Graham, D. J. and Brage- Ardao, R. 2013. The productivity of transport infrastructure investment: A meta- analysis of empirical evidence.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43, no.5: 695- 706. Rietveld, S. and Bruinsma, F. 1998. Is Transport Infrastructure Effective? Transport Infrastructure and Accessibility: Impacts on the Space. NewYork: Springer. Takatoshi, Tabuchi. 1998. Urban agglomeration and dispersion: A synthesis of Alonso and Krugman. Journal of Urban Economics 44, no.3: 333- 351. |
※ 저자명 표기방법 1인 저서: 성, 이름A 2인 저서: 성, 이름A and 성, 이름B 3인 저서: 성, 이름A, 성, 이름B and 성, 이름C 4인~7인 저서: 성, 이름A, 성, 이름B, 성, 이름C, 성, 이름D, 성, 이름E and 성, 이름F 7인 초과 저서: 성, 이름A, 성, 이름B, 성, 이름C, 성, 이름D, 성, 이름E, 성, 이름F and 성, 이름G et al. ※ 편집자명 표기방법 성, 이름(Author, A. A.)으로 표기하며, 2인 이상일 경우에는 마지막 편집자명 앞에 and를 붙인다. |
- 5 -
단행본 표기방법
저자명, 역할어(저자가 편자인 경우). 발행연도. 표제: 부표제(영문은 이탤릭). 역자나 편저자. 판차. 권차. 발행지: 발행처. |
① 공동저서
장희순, 방경식. 2014. 부동산 용어사전. 서울: 부연사.
Jang Heesoon and Bang Kyungsik. 2014. Dictionary of Real Estate Terms. Seoul: Buyonsa.
② 저자로서 편자
1. 정필모, 편. 1999. 문헌정보학 명문선. 서울: 구미무역.
Jeong Pilmo, ed. 1999.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Gumi Trading.
2. Sechzer, J. A., Praffilin, S. M., Denmark, F. L., Griffin, A. and Blumenthal, S. J. eds. 1996. Women and Mental Health. Baltimore: Johns Hoplins University Press.
③ 저자 외에 따로 편자, 역자가 있는 경우
Poter, L. and Shaw, K. 2015. 누구를 위한 도시 르네상스인가? 박재현 역. 안양: 국토연구원.
Poter, L. and Shaw, K. 2015. Whose Urban Renaissance? trans. Park Jaehyoun.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④ 영문단행본
Gujarati, D. M. and Porterm, D. C. 2009. Basic Econometrics. Singapole: McGraw Hill.
⑤ 다권본
Lindberg, D. C. and Numbers, R. L., 편. 1998. 신과 자연: 기독교와 과학, 그 만남의 역사. 이
정배, 박우석 역. 전2권.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Lindberg, D. C. and Numbers, R. L., eds. 1998. God and Nture: Historical Esays on the Ecounter between Christiani. trans. Lee Jungbae and Park Woosuk. 2 vol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⑥ 물음표나 느낌표 등 기호 다음 마침표 제외
Poter, L. and Shaw, K. 2015. 누구를 위한 도시 르네상스인가? 박재현 역. 안양: 국토연구원.
Poter, L. and Shaw, K. 2015. Whose Urban Renaissance? trans. Park Jaehyoun.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6 -
⑦ 연도표시
기상청. 2009. 기상연보, 2006- 2009. 서울: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9. Annual Cliatological Report, 2006- 2009.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⑧ 장이나 부분제목
1. Shaw, Irwin. 젊은 사자들. 영미단편선집, 신경자 편, 61- 77. 서울: 범우사.
Shaw, Irwin. The young lions. In The Collection of American Literature, trans. Shin Kyoungja, 61- 77. Seoul: Bumwoosa.
2. Thompsut, Virgrl. 1997. Cage and the collage of noises. In American Music since 1910.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3. Wiens, John. 1983. Avian community: An iconoclastic view. In Perspectives in Ornithlogy, eds. Brush, A. H. and Clark, G. A. Jr., 355- 403.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⑨ 정부간행물
국토교통부. 2015. 물과 미래. 세종: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Water for Future: Water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ejo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⑪ 저자미상
1. 홍길동전. 1942. 경성[서울]: 박문서관.
The Story of Hong Gildong. 1942. Kyoungsung[Seoul]: Bakmunseogwan.
2.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ological Association. 1997. 7th ed. Washing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보고서 표기방법
저자명, 역할어. 보고서발행연도. 보고서표제(영문은 이탤릭). 발행지: 발행처. |
① 국내 보고서
이상준, 이백진, 이현주. 2015. 한반도 북방지역 인프라 개발계획과 협력전망. 안양: 국토연구원.
Lee Sangjun, Lee Baeckjin and Lee Hyounju. 2015. A Study on the Infrastructure Development Policies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Prospects about the Futur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② 정부간행물
환경부. 2004. 그린벨트의 친환경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Study on Environmental Management of Greenbelt. Seoul: Ministry of Environment.
- 7 -
③ 해외 보고서
1. OECD. 2014. The Perverse Effects of Job- security Provisions on Job Security in Italy. Paris: OECD.
2. Employee Benefit Research Institute. 1992. Sources of Health Insurance and Characteristic of the Uninsured. Washington D.C.: Employee Benefit Research Institute.
3. Taylor, Barry. 1995. Guide for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Gaithersburg, MD: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연속간행물 표기방법
1) 학회지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명. 자료명(발행단체명)(영문은 이탤릭) 권, 호: 수록면수. |
1. 주신하, 임승빈. 2008.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 연구. 농촌계획 14권, 4호: 69- 76.
Joo Shinha and Im Seungbin. 2008. A Study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Criter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 no.4: 69- 76.
2. Lee, R. D. and Carter, L. R. 1992. Modelling and forecasting U.S. Mort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7, no.419: 659- 671.
2) 학회발표자료
①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명. 자료집명(영문은 이탤릭): 수록면수. ②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명. 자료출처 또는 행사명(영문은 이탤릭), 발표일시. 지역명: 장소. |
1. 박지영, 송상훈, 방종대. 2014. 라멘구조 공동주택 사례분석을 통한 비용절감형 장수명주택의 방향. 한국주거학회 2014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권, 2호: 71- 74.
Park Jiyoung, Song Sanghoon and Bang Jongdae. 2014. A case study on beam- column residential apartments for cost- effective long- life housing.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2014 KHA 26, no.2: 71- 74.
2. 권주영, 이종혁, 김숙하, 하미경. 2014. 어린이 안전향상을 위한 주거단지 환경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5월 16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Kwon Juyeong, Lee Jonghyuk, Kim Sookha and Ha Mikyoung. 2014. A Study on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for improving child safety in housing complex: Focusing on outdoor spaces. In Proceedings of Spring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May 16. Seoul: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3. Freed, Barbara F. 1991.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and the classroom. In Proceedings of Consortium for Language Teaching Conference, September 17- 22. Lexington: Heath.
- 8 -
3) 전문지 등
저자명. 발행연도. 표제. 매체명(영문은 이탤릭) 호(또는 발행월), 수록면수. 발행지: 발행처. |
1. 안홍기, 조은주. 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역발전 방안. 국토 400호, 17- 30. 세종: 국토연구원.
An Honggi and Jo Eunju. 2017. A Study on the regional development pla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lanning and Policy no.400, 17- 30.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4) 리포트 및 이슈페이퍼
저자명. 발행연도. 표제. 매체명(영문은 이탤릭) 호(또는 발행월일). 발행지: 발행처. |
1. 최재성. 2017. 교통투자재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해외 주행세 도입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국토정책Brief 599호. 세종: 국토연구원.
Choi Jaesung. 2017. Overseas examples of mileage taxes to provide stable transportation investment resource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KRIHS Policy Brief no.599.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 신유란. 2017. 한국과 독일 청년실업률 비교와 시사점. 한국경제주평 756호.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Sin Yuran. A Comparison of unemployment among young people in Korea and Germany. Weekly Economic Review no.756. Seoul: Hyundai Research Institute.
3. Kim Nayoung. 2016. International comparisons for public financing on ECEC. KICCE Policy Brief, December 31.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 신문기사
① 저자명. 발행연도. 기사명. 매체명(영문은 이탤릭), 발행월일, 수록면수. ② 매체명(영문은 이탤릭). 연도. 기사명. 게재월일, 수록면수. ③ 매체명(영문은 이탤릭). 연도. 기사명. 게재월일, 인터넷 주소 (검색 연월일). |
1. 박경남. 2016. KDI, 올해 경제성장률 2.6%로 하향조정. 건설경제, 5월 25일, B5.
Park Kyoungnam. 2016. KDI cuts Korea’s 2016 GDP outlook to 2.6 percent. CNEWS, May 25, B5.
2. Weber, Bruce. 1985. The myth maker: The creative mind of novelist E. L. Doctorow. New York Times Magazine, October 20, 42- 43.
3. 조선경제. 2005. 보험사, 은행업 허용 논란. 6월 8일, B2.
Chosunbiz. 2005, Allow insurance companies, banking controversy, June 8, B2.
4. New York Times. 1984. The once- simple folk tale analized by academe, March 5, 15(N).
- 9 -
5. The Huffington Post. 2016. Green City Growers Gives Staff Room To Grow. July 21, http://www.huffingtonpost.com/entry/green- city- jobs_us_578 (accessed January 22, 2017).
6) 학위논문
저자명. 수여연도. 논문명(영문은 이탤릭). 학위명, 수여기관명. |
1. 김훈상. 2010. 주택건설사업의 토지와 자본의 최적투입 시점 및 규모.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Kim Hoonsang. 2010. The Optimal Development Timing and Density of Housing Construction. Ph.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2. 박지영. 2008. 버스이용의 접근성 차이에 따른 교통취약지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Park Jiyoung. 2008. The analysis of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According to Different Accessibility for Bus Utilization. M.D. diss., Kyung Hee University.
3. Boehnke, Michael. 1968. The Paleodemography of Australopithecus. Ph.D. dis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4. 권택건. 2004. 지역별 도로인프라 확보수준 평가지표 개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Kwon Taekgun. 2004.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of Roadway Infrastructure Level. M.S. diss., Yonsei University.
기타문헌 표기방법
1) 전자자료
저자명. 발행연도. 자료명[자료유형]. 발행지: 발행처. 인터넷주소 (검색 연월일). |
1. 김태성. 2002. 중국사 뒷이야기[전자책]. 서울: 실천문학사. http://www.barobook.com/book/
book_detail (2005년 4월 16일 검색).
Kim Taesung. 2002. The Behind Story of Chinese History. Seoul: Silcheon Mumhak. http://www.barobook.com/book/book_detail (accessed April 16, 2005).
2. IFR(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2014. Executive Summary: World Robotics 2014 industrial robotics. http://www.diag.uniroma1.it/~deluca/rob1_en/2014_WorldRobotics_ExecSu
mmary.pdf (accessed May 31, 2017).
- 10 -
2) 웹문서
① 사이트명. 인터넷주소 (검색 연월일). ② 자료명. 발행연도. 인터넷주소 (검색 연월일). |
1. 금융정보통계시스템. http://fisis.fss.or.kr (2017년 1월 18일 검색).
Financial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http://fisis.fss.or.kr (accessed January 31, 2017).
2. Cleveland Foundation Quick Facts. https://www.clevelandfoundation.org/about/quick- facts (accessed February 7, 2017).
3. Intel's latest light show was the first FAA- approved drone swarm. 2016. https://www.engadget.com/2016/05/05/intel- swarm- light- show (accessed June 7, 2017).
3) 법령
법령명(영문은 이탤릭). 발행연도. 법률 번호(OO월 OO일 제정/개정/일부개정). 제OO조, 제OO항. |
1. Declaratory Judgement Act. 1952. U.S. Code. vol.28, sec.2201- 2.
2. Illinois Contitution. 2004. art.2, sec2. http://www.legis.state.il.us/commission/Irb/commain. html (accessed December 16, 2005).
4) 내부자료
저자(또는 발행기관). 발행연도. 자료명. 내부자료(미출판 자료). |
Hong, K. D. 2016. The future of land. raw data / Unpublished manuscript.
5) 인터뷰
인터뷰이. 소속. 연도. 인터뷰어, 인터뷰 날짜, 장소. |
1. 박정림. 양지리 주민. 2016. 저자와 인터뷰, 8월 19일, 철원.
Park Jeongrim. Yangi- ri Resident. 2016. Interviewed by the Author, August 19, Cheorwon.
2. 천혜봉. 서지학자,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2005. 박문열과 인터뷰, 5월 10일, 서울.
3. 익명. 화지리 주민. 2016. 저자와 인터뷰, 11월 25일, 철원.
Anonymous. Hwaji- ri Resident. 2016. Interviewed by the Author, 25 August, Cheorwon.
6) 보도자료
발행기관. 발행연도. 기사명, 월일. 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2016. 공간정보목록 표준화 완료 공간정보이용 더 쉬워진다, 3월 1일. 보도자료.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Using spatial information will be easier, March, 1. Press release.
- 11 -
참고주(내주) 표기방법
1) 인용문에 저자명 포함
저자명(발행연도, 인용면) ※ 전체 자료를 나타낸 인용은 면수를 적지 않고 저자명(발행연도)로 표기한다. |
김두진(2002, 31)은 … / 조동길, 송재일(2002, 129)에 따르면 …
Jensen, Rose(1994)는 … / Jensen, Rose, Porter and Brett et al.(2000, 139- 50) …
2) 인용문에 저자명 미포함
① 동양서 … … (저자명 발행연도, 인용면) ② 서양서 … … (저자의 성(姓) 발행연도, 인용면) ※ 동일연도 발행 2개 이상의 공저서: 4인 이상의 공저서로 동일인이 포함된 2개 이상의 저작은 식별될 수 있는 공저자명까지 기재하거나 처음 저자명만 적을 때는 서명이나 논문명의 일부를 함께 적는다. ※ 동일연도에 발행한 한 저자의 2개 이상의 저작: 발행연도에 a, b, c를 붙여서 구분한다. |
– 2인 저자
(류재술, 이상염 2001, 28) (Blanton and Cook 2002, 33)
– 3인 저자
(김혜리, 최병갑, 김성아 2001, 97) (Brett, Johnson and Bach 2002, 76)
– 동일한 저자의 구분
(김재명, 김경남, 박정규 외 2005) / (김재명, 김경남, 박승혁 외 2005)
= (김재명 외, 적색 형광체의 합성 2005) / (김재명 외, 황색 형광체의 합성 2005)
– 장 표시
(이상옥 1952, 3: 47- 38) (Barnes 1998, 2: 354- 55; 3: 39)
– 2개 이상의 저작 동시인용
(오동근 2004, 38; 2003, 27; 정필모 1989a; 1989b)
(Murphy 1988, 39- 52; Gilbert and Guber 1978, I- 25)
3) 전자자료
주소 (검색 연월일). |
자료: http://fisis.fss.or.kr (2017년 1월 18일 검색).
- 12 -